철탑 들어선 삼평리, 다시 크리스마스...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 입력 2016.12.25 22:3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성장 불탄 뒤 석달만에 재개관 / 송전탑 투쟁, 탈핵.원전폐쇄 운동으로 확대 "정부 정책 돌아보는 계기"


삼평리 농성장 뒤편에 들어선 345kV 고압 송전탑 23호기(2016.12.25.청도군 각북면)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삼평리 농성장 뒤편에 들어선 345kV 고압 송전탑 23호기(2016.12.25.청도군 각북면)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2006년 한전의 주민설명회를 시작으로 시작된 삼평리 송전탑 건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2006년 한전의 주민설명회를 시작으로 시작된 삼평리 송전탑 건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삼평1리. 80미터짜리 송전탑이 들어섰고, 고압의 송전선이 지나는 조용한 마을은 성탄절 오후 전국에서 온 시민사회 활동가들로 북적였다. 지난 수 년간 송전탑 반대운동을 벌여 온 주민들은 이곳을 찾은 손님들을 반갑게 맞았다. 주민들을 위해 준비해 온 선물은 산더미처럼 쌓였고, 만나는 얼굴에는 웃음이 떠나질 않았다.

'청도 345kV 송전탑 반대 공동대책위원회'는 25일 오후 삼평리 농성장에서 성탄절 예배를 진행했다. 송전탑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2년부터 매해 열리고 있는 삼평리 성탄예배에는 이날 주민 10여명을 비롯해 전국 시민사회 활동가, 기독교인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한해를 돌아보며 서로 덕담을 나누며 농성장 재개관을 한마음으로 축하했다.

올해 삼평리 성탄예배에는 어느때보다 많은 이들이 참석했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올해 삼평리 성탄예배에는 어느때보다 많은 이들이 참석했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삼평리 할머니들에게 성탄 선물을 전달하는 아이(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삼평리 할머니들에게 성탄 선물을 전달하는 아이(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특히 올해는 삼평리 농성장 재개관를 알리는 행사도 함께 열렸다. 새롭게 단장한 농성장에 다시는 나쁜 기운이 찾아오지 않길 바라며 길놀이와 고사를 지내기도 했다. 농성장은 초고압 송전탑이 들어서면서 평생 일궈놓은 땅을 빼앗긴 주민들이 서로 상처를 보듬었던 곳으로 지난 9월 14일 새벽 원인 모를 화재로 모든 것이 불에 탔다. 그러나 송전탑 반대운동 당시 함께 했던 이들이 다시 힘을 모았고, 세 달만에 농성장은 제 모습을 되찾았다.

이들은 서로의 존재와 연대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꼈다. 2년 전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에도 23호 철탑이 마지막으로 들어서면서 주민들의 패배로 끝나는 것처럼 보였지만 송전탑 반대는 다시 탈핵과 원전폐쇄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재개관한 농성장에 다시는 나쁜일이 오지 않길 바라며 고사를 지내는 주민(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재개관한 농성장에 다시는 나쁜일이 오지 않길 바라며 고사를 지내는 주민(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새롭게 단장한 삼평리 농성장에서 주민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새롭게 단장한 삼평리 농성장에서 주민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손병숙 청도대책위 활동가는 "농성장은 공권력에 의한 침탈에 맞서 진실을 알렸고, 많은 분들이 함께 싸웠던 곳"이라며 "고압의 송전탑 강행에는 핵발전소와 거대 산업자본이 있다. 농성장이 다시 지어졌던 것처럼 우리의 싸움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청도 더함교회 서삼열 목사는 "지난 9년간 힘겨운 일도 많았고, 아팠던 일도 많았다"면서 "오늘만큼은 즐거운 날이 됐으면 좋겠다"고 기도했다.

또 지난 7월 열린 송전탑반대 투쟁기록관에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지난 9년간 삼평리 주민들과 시민사회의 기록과 사진, 주민들이 작성한 탄원서, 청도 주민들의 이야기를 담은 그림동화, 삼평리 공동대책위의 성명과 논평, 영상, 현장모형 등 그동안의 활동이 전시돼 있다. 이날 삼평리를 찾은 이들은 기록관을 돌아보며 지난날의 싸움을 되짚었다.

투쟁기록관에 전시된 삼평리 마을 모형(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투쟁기록관에 전시된 삼평리 마을 모형(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삼평리 송전탑 반대활동을 기록한 삼평리 투쟁 기록관을 보는 사람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삼평리 송전탑 반대활동을 기록한 삼평리 투쟁 기록관을 보는 사람들(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이은주 삼평리 부녀회장은 "삼평리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면서 "삼평리를 기억하고 앞으로도 함께 해달라"고 당부했다. 김헌주 청도대책위 공동대표도 "공사가 끝난지 1년이 지났지만 전기는 들어오지 않고 있다. 한전의 전력부족 주장이 얼마나 허구인지 보여준다"며 "핵발전소로부터 시작된 정부의 잘못된 전력정책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삼평리 주민 이외생 할머니가 쓴 탄원서(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삼평리 주민 이외생 할머니가 쓴 탄원서(2016.12.25)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기자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