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 혁신' 방안은?..."플랫폼·인프라 확대"

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 입력 2022.12.21 18:0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회혁신 컨퍼런스' / 50여명 '시민테이블' 토론
혁신 어려운 이유..."무관심, 매체·예산 부족" 지적
해법 "민관 공동기금 마련→정보공유·협업·홍보" 제시


지역사회의 혁신을 어떻게 하면 시민들이 직접 주도하고 전달할 수 있을까?  

대구시민들이 지역사회 혁신을 할 수 있도록 창구를 열고,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지속적 방안을 찾기 위한 토론이 열렸다. 지역 문제에 대한 참여를 유도할 플랫폼과 인프라 확대가 방안으로 제시됐다. 

대구시는 20일 대구시민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시민이 참여하는 사회혁신 컨퍼런스'를 열었다. 
 
   
▲ '시민이 참여하는 사회혁신 컨퍼런스'(2022.12.20.대구시민공익활동지원센터)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 시민들이 테이블에서 지역혁신 방안에 대해 토론 중이다.(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정선애 전 서울시NPO지원센터장이 '사회혁신 2.0을 위한 정책과 현장의 변화'을 주제로 발제했고, 6개조로 나뉜 참석자들이 '시민이 참여하는 사회문제 해결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2시간 가량 토론했다. 박근식 대구지역문제해결플랫폼 공동집행위원장, 최명규 대구시민재단 부이사장, 박귀숙 대구시 자치행정과 지역공동체팀장 등 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사회혁신'이란 시민사회의 적극적 참여로 사회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국가나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지역주민이 스스로 일상에서 찾아내 의제로 설정하고, 지자체와 공공기관 등 지역이 이를 받아안아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통해 해결하는 방식이다. 

정선애 전 서울시NPO지원센터장은 "사회 혁신을 처음 시작할 때 소소한 불편에서 시작한다"며 "좀더 가까이에서 어떻게 내 의사를 전달할까 하는 논의가 계속 올라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회 속에 내재된 뿌리 깊은 기존 주류 제도들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했다.
 
   
▲ "의견을 전달할 매체 부족"...혁신을 가로 막는 이유에 대한 시민의 글(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 "왜 내가?", "무관심" 다양한 의견이 포스트잇에 적혔다.(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 "돈이 없어서", "경제적인 여건" 등도 문제로 지적됐다.(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발제 이후 참가자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각자 테이블에서 '시민이 사회문제 해결을 지속할 수 없는 이유'와 '그 해결 방안'에 대한 논의가 펼쳐졌다. 참가자들은 시민 스스로 사회문제를 발굴하지 못하는 이유로 ▲사회문제 무관심 ▲의견 전달 방법 부족 ▲예산·인프라 부족 등을 꼽았다.

사회 혁신을 가로 막는 것에 대해 사회 문제가 내 문제라고 잘 인식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나왔다. 

#참가자 김루나(24.대구교통공사 인턴)씨는 사회문제를 시민들이 발굴해내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사회 문제들이 잘 와닿지 않는 것"을 지적했다. 이어 "굳이 자신이 나서지 않아도 문제를 해결해 줄 것 같은 생각이 든다"며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필요성이 잘 인지되지 않는 게 크다"고 말했다.

문제를 인지해도 전달할 매체·플랫폼이 없거나 부족하고, 시스템이 정착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사회혁신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시민 참가자들(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사회혁신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시민 참가자들(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사회혁신 컨퍼런스에는 시민 등 50여명이 참여했다.(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사회혁신 컨퍼런스에는 시민 등 50여명이 참여했다.(2022.12.20)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유정은(39.대구시 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씨는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매체를 잘 찾을 수 없거나, 의견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을 잘 모르거나, 아예 없다는 게 문제"라고 꼬집었다. 또 "의견을 전할 수 있는 플랫폼이 있는데 모르는 사람도 많다"며 "이야기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홍보하거나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정착되면 훨씬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해결 방안으로는 ▲예산 확대 ▲주민 공감대 형성 ▲사회 문제 체험 공간 운영 등이 제시됐다.

#1조의 조경래(52.만평주민도서관 관장)씨는 "시민, 지역주민이 직접 주도하는 조직을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 지자체 등 참여기관별로 예산을 확대하고, 공동 기금을 마련하면 좋을 것 같다"며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고 제안했다.

#6조의 박진성(28.비영리민간단체 '희움수' 팀원)씨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마주치는 이웃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여론을 사회관계망(SNS)과 같은 매체를 통해 홍보하고, 기획된 프로젝트를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간의 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역 주민이 겪는 일상 속의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기 위해 전국에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앞서 2019년 대구시를 포함해 광주, 충북, 대전, 경남, 강원 등 6개 지자체에 도입됐다. 2022년 12월 21일 현재, 부산, 울산, 제주, 경북, 충남, 전남 등 모두 13개 지자체로 늘어났다. 해당 지역의 민·관·공은 서로 협업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