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군이 23년째 소싸움대회를 강행하기로 했다.
동물권단체들이 "동물학대"라며 "소싸움대회 중단에 이어 전면 폐지"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
달성군(군수 최재훈)에 21일 확인한 결과, 오는 30일부터 5월 4일까지 달성강변야구장 옆 하천부지(논공읍 위천리 493-1)에서 '제23회 전국민족소싸움 달성대회'를 연다.
달성군 소싸움대회는 1998년에 시작해 올해 23회째다. 달성군이 대회를 주최하고 달성소싸움협회가 주관한다.
올해 예산은 시비 3,000만원과 군비 1억4,000만원을 더해 모두 1억7,000만원을 책정했다.
앞서 달성군은 지난 3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생한 구제역 여파로 소싸움대회를 연기했다.
이어 지난 3월 31일까지 소들에 대한 구제역 예방 접종을 했다. 통상적으로 2주가 걸리는 항체 형성 기간이 지나 소싸움대회를 다시 진행하게 됐다.
다른 지자체들이 소싸움대회를 재개한 것도 달성군이 소싸움대회를 재추진하게 된 배경 중 하나다. 경남 의령군은 현재 소싸움대회를 진행 중이다. 창녕군은 오는 23일부터 소싸움대회를 열 예정이다.
동물권단체들은 "전통을 핑계로 한 동물학대"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소싸움 대회에서 필연적으로 소가 다칠 수밖에 없고, 싸움소 육성 과정에서도 학대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동물자유연대, 동물해방물결, 동물권행동 카라 등이 참여하는 '동물학대소싸움폐지전국행동'과 녹색당 대구시당(위원장 박소영)은 "소싸움대회 당일 현장에서 피켓팅과 현수막 등을 게시해 행사를 반대할 것"이라고 21일 밝혔다.
권대선 '동물학대소싸움폐지전국행동' 공동대표는 "소싸움 과정에서 소가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폐타이어 끌기 등 싸움소를 육성하는 과정도 동물학대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또 "고시로 소싸움대회를 열 수 있는 전국 11개 지자체 중 5개 지자체가 대회를 포기했다"면서 "달성군도 이에 따라 시대의 변화에 맞게 소싸움대회를 폐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소영 녹색당 대구시당 위원장은 "달성군은 소싸움대회를 열기 위한 명분이 오로지 전통 계승이라는 핑계밖에 없는 것 같다"면서 "반드시 소싸움대회를 열어야만 전통이 지켜지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이어 "달성군에서 고시 위반이 아니라고 말하는데, 지자체장이 의지를 갖고 예산 편성을 하지 않으면 안할 수 있는 축제임에도 강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개막식날 소싸움대회 현장에 찾아가 현수막을 게시하고, 피켓팅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달성군 측은 "동물학대" 논란에 대해 소싸움이 지자체에서 주관하는 전통문화라는 이유로 예외 규정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동물보호법' 제10조는 도박·광고·오락·유흥 등의 목적으로 동물에게 상해를 입히는 행위를 동물 학대로 보고 있지만,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한 민속경기는 제외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고시 제2013-57호(지방자치단체장이 주관하는 민족 소싸움 경기)' 제3조는 대구 달성군, 경북 청도군, 경남 진주시, 김해시, 의령군, 창녕군 등 11곳을 지자체장이 주관하는 민족 소싸움으로 한다고 고시하고 있다.
달성군 농업정책과 관계자는 "고시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서만 소싸움대회를 열 수 있기 때문에, 법령 위반은 아니"라면서 "전통을 살리려고 하는 쪽과 동물을 보호하려는 단체의 문화적 갈등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소싸움대회 개최 여부는 현재 검토 중"이라면서 "확정은 아니지만 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강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