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천억원 예산을 집행하는 문화예술 컨트롤타워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예산과 인사 전횡에 조직 갈등과 운영 혼란 등 총체적 부실로 경찰 수사와 대구시 감사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혼란이 잦아들지 않으면서 최근에는 진흥원 원장이 자진 사퇴하기까지 이르렀다.
대구시의회는 진흥원과 대구시가 자정에 실패한 것으로 보고 "강력한 혁신 방안"을 주문했다.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은 대구의 문화와 예술, 관광 관련 6개 기관을 통합해 출범한 대구시 문화예술정책의 컨트롤타워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 재임 시절 각 기관과 시민사회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통합을 밀어붙였다.
대구시에 20일 확인한 결과, 진흥원은 최근 조직 내 갈등과 운영 혼란, 인사 전횡, 예산 집행 불투명성 등 내홍을 겪고 있다. 대구시 감사위원회는 지난 7월 16일부터 특별감사에, 대구지방경찰청은 수사에 들어갔다.
인사와 관련해서는 ▲박순태 전 원장이 특정인을 주요 보직에 앉히려 내규 변경을 지시한 점을 비롯해 ▲공개채용 과정에서 박 전 원장이 마음에 둔 인물이 최종 임용 후보에 들지 못하자 "적격자 없음" 처리를 부당 지시한 의혹을 받는다. ▲이 지시에 불응한 직원에 대한 "좌천성 인사" 언급 논란도 있다. ▲특정 직원 인사고과 평점 점수를 10% 이상 높이려 원장 권한을 벗어난 시도를 한 것도 조사 대상이다.
예산 분야에서는 ▲기존 시스템 업데이트 비용이 4,200만원에 불과함에도 기안·결제에 연동되지 않는 신규 프로그램 2종에 4억8,000만원에 도입해 혈세를 낭비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일부 직원들이 무제한 시간외 근무를 사용해 연간 2,000여만원에 달하는 수당을 부당하게 챙겼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예술인 지원 사업 예산 집행에 부정은 없는지에 대해서는 경찰이 수사 중이다. 뿐만 아니라 ▲일부 간부들이 직무와 무관한 고가의 국외 해외연수 출장을 떠나 경찰로부터 수사를 받고 있다.
각종 논란이 불거져 의회로부터 여러번 질타를 받았음에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언론의 비판성 보도에, 정치권으로부터 비판도 이어졌다. 그 결과, 박 원장은 지난 18일 대구시에 사직서를 내고 자진 사퇴했다. 대구시는 지난 19일 박 원장의 사표를 수리했다. 대구시는 내년 6월까지 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하고, 지방선거 이후 새 원장을 공모할 예정이다. 1년 가까이 진흥원 원장 자리는 공석인 셈이다.
대구시의회는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해 혁신 방안을 요구했다.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위원장 박창석)는 20일 회의실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진흥원 사태가 심각하다"며 "대구시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문복위는 "앞서 행정사무감사와 업무보고, 현장 조사 등을 통해 진흥원 내 여러 문제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지적해왔다"며 "조직의 안정화와 쇄신을 여러 차례 요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구시 대응은 충분치 않았다"면서 "그 결과 진흥원장이 사퇴까지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약 1,000억원 예산을 집행하는 대구지역 문화예술 핵심기관이자, 지역 문화예술인 생계와 창작 기반을 책임지는 공공플랫폼인 진흥원의 이번 사태는 단순 기관 내부 문제가 아니라,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시민의 전반적인 신뢰를 훼손하고 대구 문화 예술 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비판했다.
때문에 "현재와 같은 운영 방식으로는 더 이상 문화예술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면서 "사태의 경위를 충분히 설명하고,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인사와 예산, 사업 전반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함께 문화예술계 목소리를 반영한 조직 개편과 운영 혁신 방안 마련"도 요구했다.
박창석 위원장은 "혈세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의 경영 실패와 혼란에 대한 책임은 대구시에 있다"며 "수차례 문제 제기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신뢰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