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서구 염색산업단지의 석탄화력발전소가 37년째 도심에서 가동 중이다.
서구 염색산단 일대 주민들이 악취와 매연으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주민과 환경단체는 대구시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은 24일 오전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염된 공기와 악취 더는 안 된다"며 "대구시는 서구 염색산업단지 석탄화력발전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대구 서구 비산동 일대에 있는 염색산업단지는 1980년 조성됐다.
석탄화력발전소는 1987년부터 지금까지 37년째 가동 중이다. 염색산단 내 석탄화력발전소는 대구에서 유일하게 유연탄을 이용해 염색산단 내 업체들에 전기를 공급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화석 연료를 사용해 논란이 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염색산단의 탄소 배출량은 65만6,000톤으로 대구시 전체 배출량의 7.7%를 차지했다.
대구비상행동은 지난 7일부터 22일까지 '대구염색산단 석탄화력발전소 시민 인식'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응답자는 모두 1,360명이다. 이 가운데 대구 서구 주민은 825명(60.7%)이다.
▲대구염색산단으로 입고 있는 피해에 대해 1,153명(84.9%)이 "악취 피해", 1,082명(79.7%)이 "대기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답했다. "아무 문제가 없다"고 답변한 사람은 17명(1.3%)에 불과했다.
서구 주민들 중 93.6%가 "악취 문제로 고통받고 있다"고 답변했고, 84.7%가 "대기오염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고 답변했다.
▲염색산단 내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에 대해 1,289명(94.8%)가 "하루빨리 시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서구 주민들 중에서는 96.5%인 796명이 같은 답변을 했다. ▲설문에 응답한 사람의 73.9%인 1,005명이 "대구시가 염색산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고, "국가가 해결해야 한다"도 19.3%(263명)에 달했다.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설비를 현대화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해야 한다"가 51.5%(701명), "즉시 폐쇄" 24.7%(336명), "연료 변경" 20.9%(284명) 순이었다.
대구비상행동은 "많은 서구 주민들이 석탄화력발전소로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이 설문조사 결과로 밝혀졌다"며 "대구시는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된 이런 중차대한 문제를 언제까지 끌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어 "이전이나 폐쇄 결정이 나기 전이더라도 석탄화력발전소는 하루빨리 멈추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LNG(액화천연가스) 발전 비중을 높이는 방식을 통해서라도 오염 부하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대구시와 서구 주민·염색산단 노동자·환경단체가 참여하는 대구염색산단 문제 조정위원회 구성 ▲열병합발전소 연료 대체 ▲정의로운 전환 포함 종합적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김종일 대구 서구의회 부의장(무소속, 서구 다선거구)은 "열병합발전소에서 나는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대기환경 오염에 중요한 요인"이라며 "서구 주민들의 건강이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대구시는 이런 문제를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것 같다"며 "발전소를 이전하고, 대체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서구 주민들이 사무실로 악취와 매연 떄문에 못 살겠다는 민원이 많이 들어온다"면서 "석탄화력발전소는 주민 피해를 불러오고 탄소 배출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고 지적했다. 또 "대구시는 발전소 폐쇄든 이전이든 해결 노력을 보여야 한다"며 "홍준표 대구시장은 예산 타령만 하지 말고 민생 현안 해결 노력을 보여라"고 요구했다.
대구시는 홍준표 시장의 취임 당시 염색산단 외곽 이전 공약에 따라 지난해 5월부터 '대구 염색산업단지 이전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올해 8월 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 지난 5월 8일 염색산업단지 일원을 악취관리지역으로 확정 고시했다. 오는 6월 1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산단 내 악취배출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장은 올해 11월 말까지 악취방지계획을 제출해야 하고, 악취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하면 개선 권고나 과태료 처분에 그쳤던 과거와 달리 최대 조업정지의 강화된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대구시 섬유패션과 관계자는 "지난해 5월부터 염색산단 이전 타당성 용역을 시행 중"이라며 "올해 8월에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용역 결과가 나와봐야 한다"며 "현재로서는 답변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