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TK 지하수 72%가 '음용 부적합'...국정감사 "안전대책 마련" 질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정감사] 환노위 한국환경공단 감사
전국 2천곳 중 1,237곳 '부적합', 62%
대구경북 72.1%...전국 3번째로 높아
조지연 "수질검사 전반적 점검 강화를"

대구시 한 공원에 설치된 음수대 / 사진 출처.대구시

대구경북지역 주민들의 먹는 물인 지하수의 72.1%가 마시기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국정감사에서 "안전대책을 마련하라"는 요구가 나왔다.

국민의힘 조지연(경북 경산시) 국회의원은 20일 국회 기후에너지노동위원회의 한국환경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지하수 관정 2,000개소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 마시기 적합하지 않은 지하수가 62%였다"며 "수질검사를 한 번도 받지 않거나, 한 번만 받은 곳도 67.2%다. 관련 내용을 파악하고 있냐"고 물었다.

조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하수 관정 2,000곳 중 1,237곳(62%)이 "음용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특히 대구경북은 지하수 관정 165곳의 72.1%인 119곳에서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전북 82.9%(35곳 중 29곳), 전남·광주 78.6%(42곳 중 33곳)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부적합률이 높았다.

충북 70.4%(189곳 중 133곳), 강원 66.7%(631곳 중 421곳), 부산·울산·경남 66.0%(50곳 중 33곳) 순이다.

(왼쪽부터)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2025.10.20) / 화면 캡쳐.국회 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왼쪽부터)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2025.10.20) / 화면 캡쳐.국회 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조 의원은 "지하수법에 따르면, 음용 지하수의 경우 2년에 한 번 수질검사를 실시하도록 규정돼 있다"면서 "한 번도 검사를 받지 않은 곳도 많은데 어떻게 조치하고 있냐"고 말했다.

또 "한국환경공단에서 지하수 시설개선을 1,257개소에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현재까지 515곳에 지원이 완료됐다"면서 "올해 말까지 3개월 만에 700개소는 차질 없이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를 향해서도 "수질검사 이행률은 지자체에서 관리하지만, 환경부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다"면서 "전반적인 점검은 정부가 책임지고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수질검사 홍보 강화나 지원 확대 방안들을 보고해달라"고 했다.

이에 대해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주민들이 수질검사 관련 내용을 잘 알지 못하는 것 같다"며 "홍보 활동을 더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손옥주 기후에너지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은 "수질검사 이행률 점검과 관련해 의원실에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