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투기자본 MBK의 탐욕, 정부의 방관이 부른 ‘홈플러스 사태’
정부는 방관말고, 홈플러스 정상화에 즉각 나서라!
지난 3월 홈플러스가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을 신청한 지 8개월이 지나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개 기업이 인수의향서를 제출했지만 회생보다 오히려 ‘제2의 MBK사태’에 대한 우려가 더 큰 상황이다. 게다가 오늘(7일)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 내달 29일까지로 또 연장되어 홈플러스의 청산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
홈플러스의 청산은 10만 노동자, 20만 협력업체 종사자, 5만 농축어민 그리고 생활인프라를 잃을 시민들까지 전국민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사회적 재난이다. 홈플러스가 문을 닫으면 지역 상권 전체로 여파가 미치고, 지역 경제가 붕괴하고, 주민은 생활에 타격을 받고, 국임연금 등 공공 자금 손실로 이어져 막대한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
투기자본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한 지난 10년간, 기업의 뼈대를 갉아먹으며 단기 이익만을 쫓아왔다. 점포는 매각하고 부동산만 남긴 결과, 기업의 회생 능력은 사라지고 막대한 규모의 피해로 귀결되고 있다. 이는 홈플러스가 사모펀드 MBK에 매각될 당시부터 예고된 일이었다. MBK는 홈플러스뿐 아니라 과거 기업인수에서도 법정관리, 재매각, 상장폐지 등을 반복해 왔다. 지금의 사태는 단순한 기업경영의 실패가 아닌 정부의 감독과 규제가 부재한 틈을 파고든 먹튀자본의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화’ 한 결과이다.
이렇게 외투자본이 먹튀수순을 밟는 동안 노동자들은 협력업체, 입점업주들과 함께 홈플러스 살리기에 노력해 왔다. 범국민서명에 나서고, 삭발하고, 농성하고, 단식으로 투쟁하는 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해답임을 알려왔다. 그러나 정부와 지자체 어디도 가시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곳 대구만 해도 홈플러스 유치를 위해 기업에게 갖은 특혜를 제공했지만 2개 매장이 폐점하고 동촌점이 폐점위기에 내몰릴 때까지 최소한의 책임조차 기업에게 묻지 못했다. 결국 정부·지자체의 방관과 제도 미비가 사모펀드의 탐욕을 방조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노동자·시민의 몫이 됐다.
이제 이재명 정부가 나서야 한다. 더 이상 MBK 경영진의 거짓말과 시간 끌기를 용인해선 안 된다. 정부가 책임을 방기한 채 마지막 골든타임을 놓치는 우를 범해서도 안 된다. 공적 매각, 공기업 참여, 정책금융기관의 지원을 포함한 가능한 모든 대책을 즉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외국자본의 먹튀행각이 반복되지 않도록 사회의 경종을 울리고, 규제강화 등 개선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수십만의 일자리와 지역경제, 국가경제를 지키는 것이 바로 정부의 책무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는 홈플러스 정상화에 정부가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한다. 또한 10만 노동자와 입점업체의 생존권, 시민의 지역공동체를 지키는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2025년 11월 7일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