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이 시대 '공주들'의 키워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플레이스트 전호성 두번째 작품 <Story Of Princess>
"난 믿어, 어떠한 일이 있어도 나를 사랑해 줄 사람이 꼭 있을거야"<


플레이스트 전호성의 두번째 작품 'Story Of Princess'...20일까지 [예술극장 온]에서 열린다.
플레이스트 전호성의 두번째 작품 'Story Of Princess'...20일까지 [예술극장 온]에서 열린다.


플레이스트 전호성, 글 쓰는 달그림자, 그가 다시 왔다. 아니 그를 포함한 플레이스트들이 무대로 왔다.
지난해의 약속대로, 조금 늦었지만, 대신, 공주들을 데리고 왔다. 플레이스트들의 2번째 작품, '공주 시리즈'가 지금 '예술극장 온'에서 펼쳐지고 있다.


구분의 최소화, 공간 자체를 비틀다
좁은 홀 한쪽에 매끈한 아이보리색의 나무 의자들이 쌓여 있다.
입장하는 관객들은 모두 의자를 하나씩 들고 들어간다. 소극장은 무대와 객석이 가깝다.
이들은 가까운 거리를 더욱 좁히는 시도를 한다. 누구나 자신이 앉고 싶은 자리에 의자를 놓고 앉는다.
단지 배우들의 등 퇴장에 필요한 공간 확보를 위한 양해는 있다. 구분의 최소화, 공간 자체를 비트는 형식이다.

막이 오르기 전, 관객들은 공간 곳곳을 활보하며 사진을 찍고 소품들을 구경하고 이야기를 나눈다.
이 자리가 좋을까, 저기가 낫지 않을까, 의자를 엉덩이에 붙이고는 좋은 자리를 고른다. 과감한 이들은 무대가 되는 한쪽 구석의 탑 위를 점령하기도 한다. 그리고, 암전. 시작.

무대와 객석이 가깝다..관객들은 앉고 싶은 자리에 의자를 놓고 앉으며 사진을 찍는다. '예술극장 온' 내부
무대와 객석이 가깝다..관객들은 앉고 싶은 자리에 의자를 놓고 앉으며 사진을 찍는다. '예술극장 온' 내부


극은 ‘잠자는 숲속의 공주’, ‘신데렐라’, 그리고 ‘라푼첼’의 ‘공주’들을 모티브로 한 옴니버스 형식이다.
어른들을 위한 동화도 아니고, 잔혹 동화도 아니다. 이 극은 ‘동화’ 자체가 아니다. 동화 속 물리적인 배경들, 오브제들을 빌려왔을 뿐이다. 극은 지금 이 시대, 플레이스트들이 보는 세상이다. 즉, 재해석이라기보다는 차용이다.


'플레이스트'에 직시된 이 시대의 '공주들'

그래서 공주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우리에게 각인되어 있는 그녀들이 아니다.
태생부터 공주인 사람, 착한 심성으로 열심히 노력해서 공주의 지위를 획득한 사람, 그리고 아무리 노력해도 아직은, 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사람이 이번 공주 시리즈의 공주들이다.

플레이스트들에 의해 직시된 이 시대의 공주들이 외모지상주의, 물질만능주의, 이혈세혈원칙주의의 키워드로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사실 고루할 수 있는 주제들이지만, 고루하지 않다.


실험을 넘어 관객의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섬세한 내재율

대구시청에서 동인파출소 중간쯤 있다.
대구시청에서 동인파출소 중간쯤 있다.
옴니버스라는 형식이 전개의 템포를 늘이지 않고 다양한 의도들과 구성 방법이 하나의 공연 안에 배합되어 일단 즉각적인 볼거리를 준다. 무언극 형태에 나래이션을 배합하여 시각적인 이미지에 무게를 준다던가, 플래시백을 응용한 영화적 실험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와 두 번째 트랙에서 주요하게 이용되었던 숏컷들은 그러한 전개 방법에 익숙해지기를 요청하는 다소의 인내가 필요했다. 기존 극들에 의한 익숙함 때문이라고 차치할 수만은 없는 아쉬움. 의도했던 효과들은 그들만의 실험을 넘어 관객의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섬세한 내재율을 필요로 한다. 자칫 장면 전환의 미숙으로 보여 질 수 있기 때문이다.

'Storey Of Princesse' 출연진..
'Storey Of Princesse' 출연진..


2시간의 긴 공연시간이 금세 지나갔고, 그들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 무엇이었는가는 확실하다.
마지막 대사는 이렇다. "믿어. 난 믿어. 어떠한 일이 있어도 나를 믿고 사랑해 줄 사람이 꼭 있을 거야." 암전, 끝.
그리고 배우들의 인사가 이어진다. 마지막 인사가 너무 멋스러워 뭉클했다.

그리고 디렉터 전호성이 다시 무대에 오른다.
그는 극의 마지막 대사를 스스로 무대 위의 배우로서 다시 말한다.
"믿어. 난 믿어. 어떠한 일이 있어도 나를 믿고 사랑해 줄 사람이 꼭 있을 거야."
이 말은 지난해 그의 말과 중첩되어 다가온다. "관객을 믿습니다. 저는 무대 위에서 가장 솔직합니다."

필명 '달그림자' 전호성...그는 시를 쓰고 소설을 쓰고 대본을 쓴다. 플레이스트는 PLAY + ARTIST의 줄임말.
필명 '달그림자' 전호성...그는 시를 쓰고 소설을 쓰고 대본을 쓴다. 플레이스트는 PLAY + ARTIST의 줄임말.

ps. 공연이 끝나고 그가 나에게 물었다. "어땠나요?" "유쾌했어요." "허, 거참, 성격 이상하시네..."
그의 질문이 무엇을 묻는 것인지, 그의 반응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안다. 하지 않고 나온 나의 뒷말은 이렇다.
"플레이스트들의 재기와 눈빛들이 참 유쾌했어요."

공연은 이번 주말(20일) 까지다. 4시와 7시 30분, 하루 두 번.
장소는 시청 앞에서 동인파출소 방향 부림 초밥 지하 예술극장 온. 입장료는 만원. 초대권은 없다.


글.사진 평화뉴스 류혜숙 문화전문기자
pnnews@pn.or.kr / archigoom@naver.com



(이 글은, 2008년 1월 17일 <평화뉴스>주요 기사로 실린 내용입니다 - 평화뉴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