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청수 경찰청장이 행정기관부분 ‘존경받는 CEO대상’을 받아 논란을 일으켰던 ‘2008년 존경받는 대한민국 CEO대상’(이하 CEO 대상). 결국 행사 주최 측인 한국전문기자클럽은 사무실도 없는 불분명한 단체며, 각 부문 수상자는 홍보비명목으로 부가세까지 포함된 금액을 주최 측에 납부해야 하는 ‘시민 세금으로 상을 사는’ 이상한 상이었다.
12월 3일 <경남도민일보>인터넷판에 독점 보도를 시작으로 4일 1, 3면에 집중, <인터넷 신문 오마이뉴스>, 지역의 <매일신문>, <영남일보>, , 등에 보도된 내용을 종합한 결과다.
크게 보면 ‘CEO 대상’과 <경남도민일보>에 이어 이를 후속 보도한 언론 또한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 번째는 이 상의 주최 및 후원에 분명하게 자기 이름을 밝힌 <한국일보>와 <지식경제부>에 대한 전국일간지의 비판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 상은 <한국일보>와 <한국전문기자클럽>이 주최하고, 후원은 세계언론인재단과 정부부처인 지식경제부다. 그리고 주관단체는 존경받는 대한민국 CEO대상 운영사무국과 한국소비자경제혁신원이다. 뿐만 아니라, <응모부문>은 총 20여개가 넘고, <응모신청서>에는 홍보비 명복으로 대기업은 2천만원, 지방자치단체는 1천 5백만원을 납부해야 하며, 사용내역은 연합광고 및 시상식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라고 제시되어 있다.
이미 <미디어스>에 보도된 것 처럼 <한국전문기자클럽>이 실체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있지만, 주최 측인 한국일보와 후원처인 지식경제부를 어떻게 봐야 할까?
10대 전국일간지 중 하나인 한국일보와 정부부처인 지식경제부가 주최 또는 후원하는 행사라는 점에서 이에 응모한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는 적극적으로 응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 수상대상으로 선정된 기업 및 자치단체는 일정금액의 홍보비를 납부해야 하고, △ 시상내역은 상금 없이 상패 하나뿐이며 △ 수상대상도 20여개 항목으로 나누어진 이 ‘엉성한 상’에 이름을 내건 언론사, 정부부처에 대한 전국일간지의 비판이 거의 없다.
<한국일보>가 포함되었기 때문인가? 언론사간의 침묵의 카르텔이 유지되고 있는 것 같다. <경남도민일보>에서 특종 보도한 이 내용은 지역언론, CBS, 오마이뉴스, 미디어오늘, 미디어스 등에서 여론화되고 있을뿐,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전국일간지들은 서로 입 다물고 있다.
두 번째는 지역언론의 시각이 ‘지방자치단체 예산 낭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CEO대상’자체보다 파생되는 2차적 사안에만 주목했을 뿐이다.
현재 ‘CEO'대상에 포함된 대구경북권 지방자치단체장은 △ 김형렬 수성구청장-청렴경영부문 대상 △ 곽대훈 달서구청장-시민중심경영부문 대상 △ 남유진 구미시장-공공행정 글로벌 경영부문 대상 등이다.
이 사안과 관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각각 12월 5일 <상 받고도 눈총 받는 대구 지자체장들>, <혈세는 구청장 위한 것?>을 보도했다.
요약하면 “지방자치단체장이 자신의 치적 홍보를 위해 타당성 검토 없이 시민들의 세금을 마구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수성구와 달서구는 구정 홍보비에서 부가세를 포함해서 각각 880만원을 주최 측에 송금했고, 구미시는 아직까지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두 신문은 ‘CEO대상’의 주최, 주관, 응모과정의 문제 등 이 상 자체의 구조적 문제 보다는 수상한 지방자치단체가 홍보비를 송금했는지 여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물론 ‘시민혈세 낭비’도 중요하다.
하지만 문제의 근본원인은 외면한 채 파생되는 2차 사안만 집중한다는 건, 즉 썩어 문드러진 ‘CEO대상’이라는 숲보다 부패한 나무 가지 몇 개만 보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문제의 핵심은 언론사와 정부부처가 관계된 ‘CEO대상’의 타당성 여부이며, ‘치적 홍보’를 위해 시민혈세를 고민 없이 사용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사고방식이다. 또한 언론사가 관여했다는 이유만으로, ‘엉성한’ 이 상에 ‘침묵의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는 또 다른 언론이다.
글. 허미옥(참언론대구시민연대 사무국장)
*. <참언론대구시민연대>언론모니터팀에서 12월 8일 발표한 자료입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