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의 연평도 포격으로 해병대원 2명과 민간인 2명이 숨지고 군인 15명이 다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이번 포격에 대한 '대응'을 두고 지역 언론과 정당, 시민사회단체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강력한 대응'과 '평화적 해결'을 강조하는 쪽은 보수.진보의 이념 차이처럼 뚜렷하게 나뉘고 있다.
매일 "말로만 단호한 대응, 도발 못 막아"
매일신문은 25일 <말뿐인 군에 안보를 맡길 수 없다> 제목의 사설에서 "군은 전투로 존재한다"며 "맞받아치지 않고서는 도발을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침략에 대해서는 결연한 전투의지를 보여야 할 정부와 군이 행동 대신 말잔치로 끝내며 도발을 용인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와 군의 대응을 비판하기도 했다.
앞서, 매일신문은 24일 사설에서도 "말로만의 대응"을 비판하며 "단호한 대응"을 주문했다. 매일신문은 '북한 침략행위 더 이상 용인해선 안 된다' 제목의 사설을 통해 "말로만의 단호한 대응은 우리 정부와 군의 자세가 아니다"며 "최소한의 피해를 감수하더라도 침략 행위에 눈감지 말아야한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와 군의 미지근한 대응에 국민들은 불안하다"며 "말로만 단호한 대응을 외치고서야 저들의 도발을 막을 수 없다"고 했다.
영남 "명시적 추가대응...대북정책 일관성 유지"
영남일보는 25일 <연평도 도발,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제목의 사설에서 "연평도 포격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할 수 없는 전쟁행위이고 도발"이라며 "명시적인 추가대응을 해야한다"고 밝혔다. 또, 우리 군의 대응에 대해 "악한 행위에는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상식"이라며 "그런 점에서 적을 섬멸할 힘을 지니고 있다는 메시지를 확실히 보내지 못한 이번 대응은 유감"이라고도 했다. 영남일보는 '명시적 추가대응' 방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대북정책의 원칙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혀 현 정부의 대북강경기조 변화에는 반대 입장을 보였다.
한나라당 대구시당도 24일 성명을 통해 "명백한 의도적 전쟁행위"라며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대응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시당은 오는 26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범시민 국토수호결의대회'를 열기로 했다.
"응징은 더 강한 역공 불러...총 내리고 대화의 장으로"
그러나, 대구경북진보연대는 이같은 '강력한 응징' 주장에 대해 "굉장히 우려스럽다"며 비판했다.
이 단체는 24일 논평에서 "북한에 대한 더 강력한 공격과 응징은 더욱 더 강한 역공을 불러올 뿐"이라며 "굉장히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특히, "(강력한 공격과 응징은)더 큰 분노와 원한을 쌓고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전면전이라는 파국으로 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번 사건의 배경에 대해 "최근 남북 간의 첨에한 대결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남과 북은 더 이상의 확전을 막고 이제 총을 내리고 다시 대화와 협상의 장으로 돌아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대구참여연대도 24일 논평을 통해 "군사적 보복은 또 다른 군사적 보복행위를 낳고 그 강도를 더욱 심화시킨다"며 "교전상황이 확대되지 않도록 남북 양측은 군사적 교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언행을 극도로 자제하고 평화적 위기관리 수단을 복원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북측의 포격에 대해서는 "명백한 공격행위", "정당한 방위 수준은 넘어서는 것", "지탕받아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단절된 핫라인 복구해야"
민주당 대구시당도 24일 논평에서 "남북한의 극단적 대결국면은 한반도 평화와 우리 경제를 망치는 최대 암초"라며 "이명박 정부는 남북 평화공존정책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노동당 대구시당도 "남북 간의 무력충돌은 모두에게 불행일 수밖에 없다"며 "이명박 정부는 지금 즉시 단절된 핫라인을 복구해 평화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구시당은 "평화를 위해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평도 포격 당일(11.23) 긴급논평을 낸 평화통일대구시민연대도 "평화를 지키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도 전에 '단호한 응징'이라는 논리로 군사적 조치를 강행하면 결국 남북 모두를 파멸로 몰아가는 전면전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며 "민족의 생존을 지키기 위한 지혜로운 대응이 어떤 것인지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확전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는 매우 합당한 조치"라고 밝혔다. 그러나, 당시 이 대통령은 "확전"에 대한 언급을 한 적 없으며 오히려 "단호한 대응"을 주문했다고 청와대는 24일 밝혔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