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철도 3호선 연장선에서 신서동 혁신도시가 또 빠져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앞서 2016년 연장을 검토했다가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제외하더니, 10여년 만인 올해 또 연장선 후보에 포함시켰다가 같은 이유로 빠졌다. 주민들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진다"며 "연장"을 촉구했다.
대구시 교통국에 11일 확인한 결과, 대구시는 지난 6월 26일 대구 북구 칠성동 iM뱅크 제2본점에서 '대구광역시 제2차(2028~2035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곳에서 주민공청회도 열었다.
도시철도법(제5조)에 따라 대구시는 10년 단위로 중장기 도시철도망 법정계획을 세운다. 변화하는 도시 구조와 교통 수요 변화에 대응하고, 교통 소외지역과 지역 균형발전을 목표로 철도망을 구축한다. 제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을 보면, 기존 지하철 노선에서 연장하거나 신설하는 내용들이 포함됐다.
계획안에 따르면 ▲기존 1호선은 설화명곡역, 제2국가산업단지까지 2.5km 구간 연장하고 4,6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3호선은 용지역과 대구대공원, 수성알파시티, 고산역까지 5.8km 구간을 연장한다.
신설하는 ▲도시철도 5호선은 서대구역을 거쳐 두류공원, 육군 제2작전사령부를 통과해 전체 길이 33.9km로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등 6개 지역을 경유하는 '순환선'으로 예싼 3조 2,38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6호선은 대구은행역과 수성못을 거쳐서 달성군 가창지역까지 모두 9.3km로 예산 6,843억원을 배정한다. 모두 4개 노선의 전체 길이는 51.5km로 전체 예산 4조7,390억원에 이른다.
혁신도시 주민들은 3호선 연장선에 혁신도시가 포함되길 기대했지만 제외됐다. 대구시는 지난 2016년에도 혁신도시를 연장선에 포함시키는 안을 추진했다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기준을 넘지 못해 철회했다. 올해도 혁시도시를 3호선 연장선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재검토했지만, 역시 같은 이유로 배제했다.
한국교통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도시철도망 구축 대상 노선 선정 기준은 경제성(BC) 0.7 이상, 정책성 평가(AHP) 0.5 이상이다. 혁신도시를 3호선 연장선에 포함시킬 경우 수요 비용을 검토하니 '0.425'가 나와 예타 통과 기준을 모두 넘지 못했다. 때문에 혁신도시는 3호선 연장선에 10년새 두번이나 탈락했다.
대구시 도시철도 계획팀장은 11일 평화뉴스와 통화에서 "동구 주민들 편익과 접근성을 위해 혁신도시를 3호선 연장선에 포함시키고 싶었다"며 "하지만 금호강을 지나는 노선이라 비용 투자 대비 수요가 충족되지 못해, 현재 정해진 예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 탓에 안타깝지만 연장선에 포함시킬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신 5호선 순환선 중 방촌역 방향에서 혁신도시를 잠정 추진 가능한 노선으로 포함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며 "다른 대체 이동수단을 이용해달라. 충분히 관심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민들은 대구시의 이 같은 결정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국가 균형 발전을 목표로 공공기관과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들어선 혁신도시가 조성 이후 10년 가까이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진보당 대구시당 동구지역위원회(동구지역위원장 송영우)와 동구 주민단체인 '분권과자치 동구사람들(상임대표 이제상)'을 비롯해 혁신동 주민들은 11일 오전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침에 버스 한 대 놓치면 지각이고, 하교 시간에는 배차 간격이 긴 버스를 놓치지 않기 위해 만원 버스가 반복되는 현실"이라며 "혁신도시를 살려야 한다는 과제는 동구만의 문제가 아니지 않냐"고 규탄했다.
이어 "수익과 편익만 따지고, 정주 환경과 교통 접근성 개선은 외면하고 있다"면서 "공청회도 형식만 갖췄을 뿐, 의견제출 기한은 주말을 빼면 3일로 졸속행정, 안일한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혁신도시는 혁신도서(섬)"라며 "연장선에 혁신도시를 포함시키고, 균형발전의 거점인 혁신도시를 활성화하라"고 촉구했다.
혁신도시 주민 백소영씨는 "통학 버스 노선은 708번, 401번 밖에 없다. 하교 시간에 학생들이 몰려 아이가 탄 버스가 사고가 날 뻔했다"며 "3호선이라도 연장되길 바랐는데 되지 않아서 너무 아쉽다" 말했다.
이제상 '분권과자치 동구사람들' 상임대표는 "동구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이 이뤄지지 않았다. 대구시가 어떤 생각으로 계획을 철회한 건지 모르겠다"면서 "동구청장이나 지역 정치권이라도 나서달라"고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