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지역언론 살아야 지역도 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개 지역신문 첫 지면파업...<영남> 전면, <매일> 반면 '공동기사.광고' 게재

<영남일보> 2008년 11월 27일자 8면...'지면파업'에 따라 8면 전체를 '미디어'면으로 편집했다.
<영남일보> 2008년 11월 27일자 8면...'지면파업'에 따라 8면 전체를 '미디어'면으로 편집했다.

영남일보와 매일신문을 비롯한 전국 11개 지역신문이 이명박 정부의 지역언론 정책을 비판하며 처음으로 '지면파업'을 벌였다. 이들은 27일자 신문에 각각 1면이나 반면에 '지역신문 공동취재단'의 공동기사와 공동광고를 실었다.

특히, 영남일보는 27일자 신문 8면 전체를 <미디어>면으로 꾸며 4건의 기사와 광고를 실었다.
영남일보는 8면에 <"지역언론 살아야 지역도 산다" / 발전기금 삭감 이어 신문지원 4대기구 통합추진..위기 내몰려> 제목의 머릿기사를 통해 "이명박 정부들어 지역언론이 지역경제와 함께 홀대 속에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영남일보는 또, <'지역신문발전법' 시한연장 등 촉구 - 전국언론노조 결의대회...신문사상 첫 지면파업>, <언론재단 상임이사도 '낙하산' 논란> 기사를 싣는 한편, <공정위, 전국지 불.탈법 경품 방치 / '솜방망이 처분' 일관> 기사를 통해 "신문시장 불공정행위를 감시해야 할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명박 정권 이후 노골적으로 직무유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이들 4건의 기사와 사진은 모두 '지역신문 공동취재단' 이름으로 게재됐다.

영남일보는 또, 신문 8면 하단에는 <지역언론.여론다양성이 죽어가고 있습니다>는 제목으로 '전국언론노동조합' 명의의 광고도 실었다. 영남일보 8면은 그동안 '사회', '경북' 혹은 '광고'면으로 주로 편집했으나, 전국언론노조의 '지면파업' 결정에 따라 평소와 달리 '미디어'면으로 구성했다.

'석간'인 매일신문도 27일자 9면에 2건의 기사와 광고를 실었다.

그러나, 영남일보를 비롯한 다른 지역신문과 달리 지면 '절반'만 관련 내용으로 구성했다. 또, 9면 타이틀을 '사회'면으로 평소처럼 구성했다.

매일신문은 9면 우측에 <정부, 지역민 여론 입막기 / 지역신문 벼랑끝 내몰아 / 발전지원법 폐기 착수...정권 홍보엔 97억 증액 '이중성'>, <공정위, 거대 중앙언론 불.탈법은 눈감아> 제목으로 각각 영남일보 8면과 같은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이들 2건의 기사 모두 '지역신문 공동취재단' 이름으로 실렸다.

또, 9면 하단에도  <지역언론.여론다양성이 죽어가고 있습니다>는 제목의 공동광고를 실었다.

이번 '지면파업'에 참가한 지역신문은 영남일보와 매일신문을 비롯해 부산일보.국제신문.경남도민일보.경상일보.경남신문.충청타임스.한라일보.제민일보.경인일보를 포함한 11곳이다. 

한편,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예산안심사소위원회는 27일 오전 2009년도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안 심의를 통해 신문발전과 지역신문발전 지원 예산 전액을 전년도 수준으로 증액해 수정 처리하기로 합의했다고 <미디어오늘>이 27일 전했다.

지역신문발전기금 가운데 경쟁력 강화 예산은 문화부가 제출한 49억4000만 원에서 올해 수준인 76억5000만 원으로 조정했으며, 공익성 구현 사업 예산은 문화부가 제출한 30억6000만 원에서 올해 수준인 41억9000만 원으로 조정했다. 지역신문발전인프라구축지원 예산도 문화부가 제출한 30억 원을 올해 수준인 50억 원으로 조정했다.

또, 신문발전기금 가운데 신문산업진흥기금은 문화부가 8억8000만 원을 책정했지만 문방위는 올해와 같은 수준인 40억 원으로 조정했고, 독자권익보장사업도 문화가 책정한 4억5000만 원을 수정해 올해와 같은 수준인 14억5000만 원으로 조정했다.
 

<매일신문> 2008년 11월 27일자 9면...'지면파업'에 따라 공동기사와 광고를 실었다. 그러나, <영남일보>와 달리 '사회'면 그대로 구성했고, 지면도 절반 만 관련 내용으로 편집했다.
<매일신문> 2008년 11월 27일자 9면...'지면파업'에 따라 공동기사와 광고를 실었다. 그러나, <영남일보>와 달리 '사회'면 그대로 구성했고, 지면도 절반 만 관련 내용으로 편집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