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국민 외침, 정부가 폭력으로 짓밟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민사회, "공권력에 의한 살인...대통령 사과.김석기.원세훈 파면"

6명의 희생자를 낸 서울 용산 철거민 사태와 관련, 대구지역 시민단체 회원 70여명이 대구경찰청 앞에서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09.1.21 대구경찰청 앞 / 사진.남승렬 기자)
6명의 희생자를 낸 서울 용산 철거민 사태와 관련, 대구지역 시민단체 회원 70여명이 대구경찰청 앞에서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09.1.21 대구경찰청 앞 / 사진.남승렬 기자)
"세계 어디에 국민의 외침을 폭력으로 짓밟는 정부가 있단 말인가"

시민과 경찰을 비롯해 6명이 희생된 서울 용산 철거현장 참사와 관련해 대구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대구지역 50여개 시민사회단체 회원 70여명은 21일 오전 대구지방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대통령의 공식사과와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명박 정권의 무도한 행위로 국민의 목숨이 숨져갔다"면서 "세계 어디에 가난한 국민의 외침을 폭력적으로 짓밟는 정부가 있느냐"고 성토했다. 특히, 이번 용산 참사를 "국가 공권력에 의한 대국민 살인 행위"로 규정하고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 앞에 사죄하고, 김석기 내정자와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한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는 물론이고, 서민에게 고통을 주는 이른바 'MB악법'도 이번 기회에 모두 폐기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시민의 목소리는 외면한 채 국민에게 계속 폭력을 일삼으면 이 정부는 머지않아 범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민 김지영(29.여)씨는 "경찰 특공대가 나설 만큼 긴박한 상황이었는지 묻고 싶다"면서 "하루만에 공권력을 투입, 무리하게 진압에 나서 시민의 목숨을 앗아간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대구지역 시민단체들은 앞으로 이번 사태의 진상을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려나가기로 하는 한편, 설 연휴 전날인 23일까지 대구 동성로 한일극장 앞에서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시민 추모제'를 열기로 했다. 희생자들을 위한 '분향소'도 20일 오후 한일극장 앞에 설치됐다. 대구참여연대와 민노.진보신당을 비롯한 10여개는 단체는 20일 긴급모임을 갖고 분향소 설치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대응책은 정부의 태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설 연휴가 끝날 때까지는 일단 기다려보겠다는 입장이지만, 정부가 책임을 피하면 투쟁 수위는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참여연대 강금수 사무처장은 "설 연휴 후, 정부와 한나라당이 내놓는 입장에 따라 시민사회의 목소리는 더 커질 수 있다"면서 "만약, 정부가 이번 참사의 원인을 철거민 탓으로 돌리면, 촛불문화제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등을 또다시 열어 시민들에게 이번 사태의 진상을 적극적으로 알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보상비를 두고 조합.서울시와 갈등을 빚어온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철거민 50여명은 지난 19일부터 용산구 철거 예정 상가건물에서 농성을 해왔다. 20일 오전 경찰 특공대가 투입됐고, 진압 과정에서 주민 5명과 경찰 1명을 비롯해 6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에, 대구와 서울을 비롯한 시민사회는 이번 참사를 무리한 진압이 부른 '공권력 살인'으로 보고 20일부터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촛불집회를 여는 등 반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