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미디어공공성위(준)주최한 <한나라당 미디어산업법 분석 및 지역언론생존방안>세미나가 지난 16일 국가인권위대구사무소 배움터에서 열렸다.
강길호(영남대 언론정보학과/참언론대구시민연대 대표)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는 △ 성공회대 김서중(신문방송학과) 교수가 ‘신문법 개정, 한국사회 여론독과점 및 독자권익보호 간과’ △ 동의대 문종대(신문방송학과)교수가 ‘방송법 개정, 산업화 논리의 경제적 평가’ △ 대구 MBC 이영환(PD)가 ‘방송법 개정과 지역방송’을 주제로 발표했다.
현 정부의 언론정책이 ‘여론다양성을 외면하고, 언론의 공적가치를 외면하며, 특히 지역중소규모 언론사에게 치명적 폐해가 된다'는 주장은 발표자 뿐만 아니라 토론자들도 공감했고, 이와 관련된 구체적 자료도 제시되었다.
이날 세미나는 <대구MBC 뉴스데스크>와 <영남일보 : 취재수첩>을 통해 주요하게 보도되었다.
대구MBC 도성진 기자는 보도를 통해 “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현재 추진 중인 방송법 개정 등 언론관련법이 지역언론의 생존을 위한 길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오늘 토론회에 참석한 언론학 교수들과 지역 언론인들은 오히려 지역 언론을 말살하는 정책이라면서 한 목소리로 비판하고 나섰다"라며 ”재벌과 조.중.동으로 불리는 족벌신문에게 지상파 방송의 경영을 허용하면 지역방송은 단순한 중계소로 전락하게 된다는 것“이라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또한 “보도와 오락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프로그램을 편성할 수 있는 종합편성채널에 재벌의 진입을 허용하면 광고 몰아주기 현상이 발생해 지역 언론이 고사될 수 있으며, 광고에 의존하는 미디어산업은 GDP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면 일자리가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경쟁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논리는 허구라는 지적”도 제시했다.
<영남일보> 이진상(사회 1부)기자는 17일자 신문「취재수첩 : 지역언론의 위기 해결책은」을 통해 “지역언론의 위기는 조·중·동이라고 일컫는 중앙 일간지들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졌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말하는데,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타당한 지적이지만, 10여년을 언론계에 몸담은 기자의 입장에서 볼 때 조금 다르게 바라본다”며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수도권의 집중도가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지방이 약화되고 힘을 잃어가는 현실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본다”고 주장했다.
즉 “수도권에 사람·돈·정보가 몰리고, 지역에 사람·돈·정보가 바닥나고 있는, 또 다른 지역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할 뿐”이라는 것.
한편 “지역언론의 위기는 광고시장과 중앙일간지의 여론독점을 처리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며 “지방분권의 정도와 정책, 지역언론 콘텐츠, 지역언론의 신뢰도, 지역 오피니언 리더와 언론과의 관계 등 종합적으로 풀어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글. [참언론대구시민연대] 허미옥 사무국장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