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광복절을 하루 앞두고 민족의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집회가 대구에서 열렸다. 일제 식민지 해방이 민족의 '분단'으로 이어진 8.15를 되새기며, 이명박 정권의 대북 적대.무시정책을 비판하고 남북공동선언 이행과 대북 쌀지원 법제화를 촉구하는 자리였다. '이명박 정부 대북정책 규탄 시민대회'라는 이름으로 8월 14일 오후 한나라당 대구시당(수성구 범어동) 앞에서 '통일선봉대'를 비롯한 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참가자들은 이 집회에 이어 대구백화점까지 행진한 뒤 저녁 7시부터 '광복 64돌 기념 6.15, 10.4선언 실천 대구시민 통일문화제'를 연다.
대북정책 규탄의 포문은 통일선봉대가 열었다. '대구지역 815자주통일선봉대'는, 지난 8월 12일 민주노총 조합원과 대학생 42명으로 발대식을 가진 뒤 논공단지와 동대구역, 성서공단, 대구백화점, 대구2.28공원, 한일극장을 돌며 2박3일동안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하며 '자주.통일'을 외쳤다.
국민을 잘 섬기겠다?
또, 오는 8월 17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을지프리덤가디언훈련'에 대해 "을지훈련은 방어용이 아니라 공격형 훈련"이라며 중단을 촉구했다.
특히, "이명박 정권은 집권 1년 반동안 어떠한 것도 국민.민중의 편에서 일한게 없다"면서, 한나라당사 앞에 걸린 '국민을 잘 섬기겠습니다'라는 문구를 가리키며 "토하고 싶다는 말까지 나온다"고 비난했다.
쌀 한톨, 통지문 한장, 이산가족 한명도...
대구여성회 김영순 회장은 "이명박 정권은 북측에 대화하자는 내용의 통지문 한장 보내지 않았다"면서 "남북공동선언 합의 내용 만이라도 지켜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6.15선언과 10.4선언 뿐 아니라 북의 체제를 무시하는 발언을 일삼고 있다"면서 "남북관계는 기본적인 신뢰와 존중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순 회장은 또, '대북 퍼주기' 논란에 대해 "기아에 허덕이는 외국에는 물자를 지원하면서 왜 우리 민족에게는 지원하면 안되냐"면서 "대북 지원은 퍼주기가 아니라 대북 인권 지원"이라고 말했다. 또, '개성공단'을 예로 들며 "우리 기업들이 싼 임금으로 돈을 벌고 있는데, 이것도 퍼주기냐"며 일축했다.
"대북 쌀지원 법제화...대북대결정책 전환"
전국농민회 경북도연맹 석성만 의장도 "해마다 40만톤씩 북측에 보냈는데, 이명박 정권 들어서는 한 톨의 쌀도 보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대북 쌀지원 법제화'를 촉구했다. 또, "내일 전국의 농민들이 모은 쌀을 임진각으로 싣고 가 북으로 보내려 한다"면서 "그 쌀마저 못보내게 한다면 임진각에 그대로 쌓아둘 것"이라고 말했다.
6.15실천 대경본부도 '광복 64돌 기념사'를 통해 "이명박 정부 들어 남과 북의 땅길, 뱃길, 하늘길이 모두 막혔고, 이산가족은 단 한명도 상봉하지 못하고 있으며, 서해상의 충돌위기는 높아지고 있다"면서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 3000과 대북대결정책은 하루 빨리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대북 쌀지원 법제화'라고 쓴 트럭에 쌀을 싣고 '통일문화제'가 열리는 대구백화점으로 행진했다. <6.15실천 대경본부>가 주최하는 통일문화제는 통일노래자랑과 통일퀴즈대회에 이어 다양한 문화공연이 이어진다.
![]() | ||||||||
| ||||||||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