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야6당과 시민사회의 지방선거 '후보단일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올 1월부터 '선거연대'를 논의해 온 < 6.2지방선거 대구정책연대>는 야6당과 시민사회단체의 후보 조정과 검증을 거쳐 오는 4월 21일 1차 후보를 발표하기로 했다. 대구정책연대는 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사회당을 포함한 대구 야6당과 대구경북진보연대.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풀뿌리대구시민연대를 포함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구정책연대'에 출마 뜻을 밝힌 야6당과 시민사회 인사는 30여명으로, 광역'은 대구시장과 대구시의원 선거에 각각 3명씩, 모두 6명이 출마 뜻을 밝혔다. '기초'는 구청장.군수 선거 5명과 구.군의원 선거를 포함해 24-25명이다.
이 가운데, 대구정책연대 대구시장 선거를 제외한 대구시의원과 기초단체장.기초의원 선거 출마예정자 가운데 1차 단일후보를 4월 21일 발표할 예정이다.
먼저, 대구시의원 선거는 3명이 각각 다른 선거구에 출마 뜻을 밝혀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단일후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초단체장의 경우, 달성군수 선거에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후보가 나서 후보 조정이 필요하다. 중구.동구.남구.달서구청장에는 각 1명씩 출마 뜻을 보였다. 중구.동구.달서구청장 선거에는 국민참여당 후보가, 남구청장 선거에는 무소속 후보가 나선다.
기초의원은 대구 전체 44개 선거구 가운데 절반 가량인 20-22개 선거구에 각 정당과 시민사회 출마자가 확정됐거나 거론되고 있다. 또, 이 가운데 7개 선거구에는 야6당의 후보가 2-3명씩 출마 뜻을 밝혀 후보조정을 비롯한 단일화 과정이 필요하다.
대구정책연대는 "후보간 조정"을 가장 우선적으로 유도하되, 후보간 조정이 되지 않으면 "서류.면접 심사를 통한 단일화 권", "권고에 불복할 경우 경선을 통한 단일화" 과정을 밟기로 했다. '경선'의 경우, "지역구민 최소 1%이상 ARS 여론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대구정책연대는 4월 20일 야6당.시민사회 대표자회의를 통해 '단일후보'를 발표한 뒤, 4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차 후보 공모와 후보 조정.검증(3.29-5.5)을 거쳐 5월 '단일후보'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 5월 7일부터는 정책연대 후보가 확정되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추가 후보공모와 선정.발표를 후보 등록전까지 이어가기로 했다.
대구정책연대 실무를 맡고 있는 김동렬(대구KYC 대표)씨는 "야6당과 시민사회 내부의 '단일후보'를 먼저 확정한 뒤, 공동정책에 동의하는 인사를 대상으로 폭넓은 후보 공모를 통해 정책연대 후보를 낼 계획"이라며 "대구시장 후보단일화는 공모기간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대구정책연대 대표들은 지난 4월 1일 합의문을 통해 "이번 6.2지방선거는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의 퇴행적.일방적 국정운영과 지방소외를 심판하는 선거"라며 "▶일제고사.4대강사업.세종시수정안 반대 ▶친환경무상급식, 서민복지.사회공공서비스.일자리 대폭 확대"를 공동정책으로 발표했다.
한편, 지난 1월 '5+1'(야5당+시민단체연대회)에서 시작한 <대구정책연대>는, 2월에 사회당과 대구경북진보연대가 참여하면서 '6+2'로 늘었으며, 3월에는 '풀뿌리대구연대'까지 아울러 지금은 '6+3'의 연대체로 커졌다. 시민사회단체 인사 80여명의 제안으로 지난 2월 닻을 올린 풀뿌리대구연대는 그동안 '기초의원' 후보를 자체 공모했으나, 3월부터 '야6당.시민사회 대구정책연대'와 함께 '후보단일화'에 나섰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