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으로 건설중인 낙동강 '구미보'가 부실하게 시공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히, 부실공사로 상판에 균열이 생기고 권양대가 붕괴될 위험마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석간 <내일신문>은 7월 2일자 신문 1면 < 4대강 구미보, 부실시공 의혹제기> 기사에서 "4대강 보 공사 가운데 30공구 낙동강 구미보가 부실하게 시공됐다"며 "수문을 들기 위한 권양기(쇠밧줄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기계. 사진 타원 안의 상판 위에 보이는 둥그런 물체)가 설치된 약 40m 높이의 권양대가 너무 약하게 시공돼 시운전을 하다가 상판에 균열이 생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부실시공. 붕괴 위험" / "균열 없다. 현재 정상"
특히, 시공에 참여한 공사업체 관계자 말을 인용해 "지난 6월 9일 시운전을 하다 상판에 균열이 발생해 시운전을 중단했다"며 "토목설계와 기계설계가 맞지 않고 공사를 너무 서두르다 생긴 부실공사"라고 보도했다. 또, "토목 기초가 너무 약하게 설계돼 수문을 들면 수백억짜리 권양대가 붕괴될 위험이 있다"면서 "모두들 쉬쉬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감리단 측은 "균열은 없다"고 부인했고, 시공업체 측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특성상 균열이 가지만 그 정도가 심각하지 않으면 되고, 현재까지는 정상적으로 시운전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내일신문은 보도했다.
"우려가 현실로...근본적 해결책은 4대강 사업 중단"
이같은 '부실 의혹'과 관련해, 지역 시민단체들은 "예고된 재앙"이라며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구미풀뿌리희망연대>는 2일 성명을 내고 "우려하던 일이 결국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예고된 재앙을 막으려면 이제라도 하루 빨리 4대강 사업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특히 "거대한 양의 물을 가두는 보가 부실시공으로 붕괴되면 대홍수가 발생할 뿐 아니라, 구미 첨단국산업단지는 보의 붕괴와 홍수로 직접적인 물폭탄을 받게 된다"며 '민.관 조사단'과 '대책기구'를 구성해 공개적인 조사에 나서도록 정부와 시공사, 구미시.시의회에 각각 요구했다.
<낙동강지키기대구경북시민행동>도 2일 성명을 통해 "공사 관계자의 제보로 드러난 의혹인만큼, 정부와 시공사는 발뺌할 것이 아니라 즉시 전문가들로 조사단을 구성해 엄밀 조사하고 분명한 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무리하게 공사를 추진할 경우 부실공사에 따른 홍수피해 등이 초래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을 무시하고 ' 4대강 사업'을 강행한 이명박정부와 졸속.날림공사를 시행한 시공사에게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면서 "근본적인 해결책은 4대강 사업의 즉각 중단"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번 사건은 예견된 것이나 다름없는 일이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숱한 인재들을 예고하는 서막에 불과할 수 있다"며 "이명박정부와 김관용경북지사, 김범일대구시장은 즉시 4대강사업 중단을 결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