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 캐롤 고엽제 매장사건 시기와 맞물려 비무장지대(DMZ)에 고엽제를 살포했다는 주한미군의 증언에 이어 당시 민간인이 동원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녹색연합은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민간인이 DMZ 고엽제 살포에 동원된 사실을 확인했다"며 당시 배포됐던 고엽제(모뉴런) 사진도 공개했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당시 살포된 고엽제를 보유하는 사람은 강원도 민통선에 거주하는 주민으로 1971년 비무장지대 시야 확보를 위해 불모지 작업을 하면서 고엽제를 살포하는 작업을 진행했고 목책 주변으로 풀이 자라날 때마다 수시로 작업을 지원했다고 한다.
또한 지역 군부대의 요청으로 주민들이 고엽제 살포에 동원되고 현장에는 미군이 고엽제 이동과 살포를 감시하는 역할을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당시 주민이 살포한 고엽제는 드럼통이 아닌 포대자루에 담겨 있었으며 취급주의 표시와 해골, 위험 등이 표시되어 있었으며 당시 살포된 고엽제를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다.
해당 주민은 "고엽제 살포 작업은 보호 장비 없이 맨 손으로 진행되었고 작업에 참여한 당사자들은 고엽제 인줄 모른 채, 단순히 풀 없애는 약이라고만 들었다"며 "당시 작업 후 군부대에서 쓰다 남은 것은 가져가라고 했다"말했다.
그는 1971년 고엽제 살포 후유증으로 천식을 앓고 있으며 국가에 고엽제 피해 보상을 신청했으나 보상을 받지 못해 증거로 고엽제를 폐기하지 않고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뉴스] 2011년 05월 25일 13:49 조정훈 기자 (통일뉴스 = 평화뉴스 제휴)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