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대구, 20년 만에 최대한파 '난방비 폭등'...진보당 "서민요금 동결"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입력 2023.01.25 18:5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가스 36.2%, 난방 요금 34.0%, 1년새 2~3배 급등
에너지기업 SK·GS·포스코 등 성과급 1천% '폭리' 지적
25일 영하 14.2도, 대구경북 전지역 -10~20도 한파경보
진보당 "정부 무대책...에너지바우처 확대·재난지원금"


대구에 20년 만에 최강 한파가 몰아쳤다. 서민들은 강추위에 급등한 난방비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다.

대구지방기상청에 따르면, 25일 오전 7시 기준 대구 최저기온은 영하 14.2도를 기록했다. 경북지역에서도 영하 10도에서 영하 20도의분포도를 보였다. 경북 의성군 영하 19.1도, 청송군 영하 18.6도, 영주 영하 17.4도 등을 기록했다. 대구경북 전지역에 한파주의보와 한파경보가 내려졌다. 

2000년대 들어서 가장 낮은 기온을 기록한 셈이다. 대구는 지난 1970년 영하 15.1도, 지난 1953년 영하 14.2도를 기록했다. 20년 만에 역대 세번째 최저기온을 기록해 역대급 추위를 보였다. 
 
   
▲ 한파주의보가 내린 대구...대성에너지 도시가스관 (2023.1.25)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대구도시가스주식회사 '대성에너지' 도시가스 연결관(2023.1.25)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전국이 꽁꽁 얼어붙었다. 하지만 마음놓고 난방을 틀 수 없다. 최근 난방비가 폭등한 탓이다. 

네이버 대구지역 한 맘카페에 달서구에 산다고 밝힌 주부 이모씨는 지난 19일 "이번달 가스비가 너무 많이 나왔다"며 "폭탄 수준"이라는 하소연 글을 올렸다. 그는 "대성에너지 비교해보니 작년에 한겨울에 6만이 안넘었는데 22년 1월 6700(MJ)쓰고 4만9천원, 23년 1월 7100(MJ)쓰고 7만1천원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어 "고작 400(MJ)를 더 쓰고 돈은 2만2천원이나 더 나왔다"면서 "어떻게 된건지 모르겠다"고 했다 .

다른 회원들도 "저희도 안틀었다고 생각했는데 15만원이 넘었다", "주택은 저 가격의 3배 이상 나온다", "미친듯이 오른 게 맞다. 이번달에 28만원 나왔다. 후덜덜하다", "지난 달에 5만원이었는데 오늘 9만원 나왔다"는 비슷한 답글이 줄줄이 달렸다. 난방비가 급등해 부담스럽다는 내용들이 주를 이뤘다. 

실제로 지역 난방비는 폭등했다. '한국도시가스협회'는 2023년 1월 대구 주택난방도시가스 소매요금을 1메가줄(MJ) 20.65원으로 2022년 1월 15.13원과 비교해 36.4% 올렸다고 밝혔다. 가스도매요금은 주택용 기준 5.47원 인상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역시 1메가칼로리(Mcal) 주택용 열 사용요금을 2022년 3월 기준 65.23원에서 같은해 10월 89.88원으로 37.8% 인상했다고 했다. 전국적으로 도시가스 요금은 36.2%, 난방 요금은 34.0% 올라 최근 1년새 2~3배 급등했다.

정부와 에너지업계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수급난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국내 액화 천연가스 수입액이 70조 이상 급증했기 때문에 국내 난방비가 뛰어다는 분석이다.

야당은 윤석열 정부가 예고된 재난에 무대책으로 손을 놓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구 중구 한 식당 전기계량기...한국전력도 요금 인상을 예고했다.(2023.1.25)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중구 한 식당 전기계량기...한국전력도 요금 인상을 예고했다.(2023.1.25)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진보당 대구시당(위원장 황순규)은 25일 논평에서 "난방비 폭탄으로 모든 국민, 서민들이 고통 받고 있다"며 "예고된 재난에도 난방비 폭탄이 나온 것은 정부의 무대책 탓"이라고 규탄했다. 또 "SK, GS, 포스코, 삼천리 등 에너지기업은 성과급 1000% 역대급 돈잔치를 벌였다"면서 "가만히 앉아 떼돈을 버는 재벌은 그대로 두고 국민에게만 고통을 전가하는 것은 공정도 상식도 아니다"고 비판했다.

때문에 "난방비, 전기요금 등 서민요금을 동결하고 재벌요금을 인상하라"며 "한파에 고통 받는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에너지 바우처'를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폭리를 취한 기업에 횡재세를 도입해 복지기금으로 쓰고 전국민에게 에너지 재난지원금 10만원을 한시적으로 지급하라"고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