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의 전용 콜택시인 대구 '나드리콜' 숫자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동편의증진법'상 차량 숫자가 운영 기준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내달부터 시행되는 같은 법 개정안 준비도 미적지근하다는 비판이다.
뿐만 아니라 경북 군위군이 7월부터 대구시에 편입되면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인구도 늘어난다. 때문에 지금도 나드리콜 차량 숫자가 부족한데 편입이 본격화 될 경우 더 부족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27일 오후 국민의힘 대구시당 앞 기자회견에서 "나드리콜 차량 증차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홍준표 시장은 나드리콜을 확대하고, 장애인 광역이동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법'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어려운 장애인 등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나드리콜의 기준을 정하고 있다. '중증장애인 150명당 1대'가 운영 기준이다.
하지만 현재 대구시가 운영하는 나드리콜(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2023년 6월 27일 운영현황) 특장차량은 180대, 개인택시는 310대로 '특장차량'은 특별교통수단 운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현행 법상 대구 나드리콜 숫자를 계산해보면 운영 기준은 217대다. 37대가 부족한 셈이다.
내달부터 시행되는 이동편의증진법 개정안 준비도 하세월이다. 법 개정으로 시도간 광역이동권 보장이 확대되는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여기에 오는 7월 군위가 대구에 편입돼 이용자가 더 늘어나면 나드리콜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크다.
대구장차연은 "나드리콜이 안그래도 부족한데 더 부족해질 것"이라며 "홍 시장과 정부는 장애인과 교통약자들이 교통 불편을 겪지 않도록 이동권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예산을 증액하라"고 촉구했다.
![]() | ||||||||
▲ "장애인운동 탄압 중단" 국민의힘 대구시당에 항의 피켓(2023.6.27) / 사진. 평화뉴스 정준민 수습기자
| ||||||||
박명애 대구장차연 상임공동대표는 "콜택시를 타려면 마음을 단디(단단히) 먹어야 한다"며 "어느 날은 2~3시간 기다려도 오지 않아 약속이 깨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대구시와 홍 시장은 여건 개선을 위해 투쟁하면 불법이고 이기적인 집단이라 이야기하는데, 과연 누가 이기적인 집단이냐"며 비판했다.
박경석 전국장차연 상임공동대표는 "대구지하철에서 장애인 이동권 보장 캠페인을 할 때 시민들이 우리 권리를 당연히 보장해야 한다고 동의했지만, 홍 시장만 동의를 하지 않는다"면서 "시설에 갇혀 살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하며 지역에서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