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8만평 왕버들숲' 베어버린 안동시..."생태파괴 행정" 반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동시 '반변천 유수지장목 제거사업'
28만㎡ 면적 벌목, 50~60그루 추정
퇴적토 쌓여 물흐름 지장, 홍수 예방
안동시 "비용 문제로 준설 계획은 X"
환경단체 "자연 조성 습지, 생태 파괴"
"나무가 홍수 피해 줬다는 근거 없어"

경북 안동시 왕버들 군락지. 이제는 푸른색 나무들이 모두 밀려 허허벌판이 됐다.

하천을 끼고 자라났던 왕버들숲은 벌목을 하고 남은 잔가지와 쓰러져 있는 잡초들만 남았다.

홍수 예방을 이유로 수십만㎡에 걸친 왕버들 군락지를 안동시가 제거해 '생태 파괴' 논란이 일고 있다.

안동시(시장 권기창)에 7일 확인한 결과, 안동시는 지난 2월 3일부터 남산면 신석리 1160-5~송천동 1319-1구간에 '반변천 유수지장목 제거사업'을 하고 있다. 사업 면적은 28만㎡(8만4,700평)이다. 안동시는 해당 지역 주민들이 준설공사(하천 바닥에 쌓인 모래 등을 파내는 공사)도 요구했으나, 비용 문제로 지장목만 제거했다고 밝혔다.

(위 사진)벌목 전 경북 안동시 반변천의 왕버들 군락 모습(2024.5.7) (아래 사진)안동시 남산면 신석리 1160-5~송천동 1319-1 '반변천 유수지장목 제거사업'으로 나무와 풀이 제거된 모습(2025.3.7) / 사진 제공.안동환경운동연합(아래 사진) / 사진 제공.안동환경운동연합

안동시 수자원정책과 관계자는 7일 <평화뉴스>와 통화에서 "우기나 홍수 때 하천수 수량이 많아지는데, 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큰물이 지고 나면 퇴적토가 쌓이거나 상류 쓰레기가 적치돼 유수와 환경에 지장을 준다"고 말했다.

이어 "주민 일부는 준설공사를 요구했으나 예산과 흙 운반 등의 문제가 있어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상태"라면서 "비단 안동뿐 아니라 전국 지자체에서 국가하천·지방하천 등의 유수지장목 제거사업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환경단체는 반발했다. 나무 50~60그루 때문에 홍수 피해가 발생한다는 근거가 없으며, 행정기관의 공사로 생태적 가치를 지닌 곳이 훼손됐다고 비판했다.

'쳔혜의 선어대 습지를 파괴한 안동시 규탄 기자회견'(2025.3.7. 안동 송천동 선어대) / 사진 제공.안동환경운동연합
'쳔혜의 선어대 습지를 파괴한 안동시 규탄 기자회견'(2025.3.7. 안동 송천동 선어대) / 사진 제공.안동환경운동연합

안동환경운동연합은 7일 오전 안동시 송천동 선어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동시는 홍수 예방이라는 말도 안되는 이유로 수십년 왕버들 군락지를 밀어 버렸다"면서 "자연적으로 조성된 생태 습지를 무도하게 밀어버린 안동시장은 시민에게 사과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환경단체는 "선어대 습지는 상수원 취수 지역으로 보를 막아 놔 물흐름이 완만한 것이 당연하다"면서 "습지 나무들이 홍수 피해를 입혔다는 근거는 없고, 하천 하류는 홍수 피해를 입을 수도 없는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훼손된 자연을 복원하지는 못할망정 자연 조성 생태 습지를 무도하게 밀어버린 안동시는 무엇을 하려고 이런 짓을 벌였단 말이냐"며 "우리에게 많은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산천을 국비를 들여 무참한 짓을 벌인 안동시의 행정을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근거 없는 홍수 피해 국비 낭비 웬말인가" 피켓팅(2025.3.7) / 사진 제공.안동환경운동연합
"근거 없는 홍수 피해 국비 낭비 웬말인가" 피켓팅(2025.3.7) / 사진 제공.안동환경운동연합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는 "안동시는 환경을 제대로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지는 않고 토목 사업에만 관심이 잇는 것 같다"면서 "공사로 왕버둘숲이 없어져 야생동식물들의 은신처가 사라졌고, 시민들도 삭막한 풍경을 보고 허탈함을 느낄 것이다. 안동시는 복원 계획을 당장 내놔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