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자치'를 기치로 한 <풀뿌리대구연대>가 24일 출범과 함께 '주민 후보' 찾기에 나섰다.
풀뿌리대구연대는 오는 6.2지방선거에서 '대구 8개 구.군의회 1명 이상 당선'을 목표로 세웠다.
이를 위해 4월 16일까지 2차례에 걸쳐 후보 공모와 시민배심원단의 심사를 통해 '주민후보'를 발표하는 한편, 후보가 결정되면 4월에 '생활자치 아카데미'를, 5월에 '후보자 합동출마 전진대회'를 잇따라 열기로 했다.
"권력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주민후보"
풀뿌리대구연대는 24일 오후 대구시민센터 강당에서 발표한 출범선언문을 통해 "기초의회는 중앙집권적 권력정치의 바람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진정한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바탕"이라며 "양심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능력있는 풀뿌리 일꾼들이 기초의회에 진출하도록 함께 힘을 모으자"고 호소했다.
특히, "대구 8개 구.군의회 1명이상 당선"을 목표로, ▶기초의원선거 소선구제 반대 ▶기초의회 폐지 반대 ▶지방의회 정당공천제 폐지를 포함한 "지방자치 제도개혁"과 "생활정치 의제.정책개발", "민주세력 결집"을 전략 사업으로 꼽았다. 또, "자율(동네자치.마을자치 실현), 연대(동네경제 살리기, 마을공동체 가꾸기), 생태(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 쾌적한 동네 만들기)"를 가치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풀뿌리대구연대는 9명의 공동대표와 실무를 맡을 5명의 기획집행위원회를 구성했다. 대구KYC 김동렬 대표가 기획집행위원장을 맡았다. 지난 1월 5일 풀뿌리대구연대를 제안할 당시와 비교해, 공동대표에 김영화(대구참여연대 공동대표)씨 1명이 늘었고, 발기인은 당초 공동제안자 18명에서 83명으로 늘었다. 그러나, 당초 목표로 한 '발기인 500명'에는 크게 미치지 못했다.
|
풀뿌리대구연대는 24일 출범과 함께 '생활자치 주민후보' 공모에 들어갔다.
3월 25일 1차 심사 결과를 발표한 뒤 4월 1일 2차 공모에 들어가 4월 16일 최종 주민후보를 발표한다.
후보 심사는 '시민배심원단'이 맡는다.
"시민배심원단은 시민단체 뿐 아니라 해당 지역 주민들도 평가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이라고 김동렬 기획집행위원장은 말했다.
"8개 구.군 1명이상 당선 목표...소통.연대 절실"
또, '주민후보' 자격과 관련해서는 "풀뿌리대구연대의 취지에 공감하고,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폐지, 기초의회 소선거구제 반대, 광역.기초의회 폐지 반대에 동의하는 사람은 누구나 주민후보에 참여할 수 있다"고 김동렬 위원장은 말했다. 특히, "정당의 당원이나 당직자라 하더라도 당명을 쓰지 않고 풀뿔리 주민후보로 출마할 의사가 있으면 공모 신청을 할 수 있다고"고 덧붙였다.
현재 '주민후보' 출마 뜻을 밝힌 사람은 대구DPI 서준호(33) 사무국장 1명 뿐이며, 대구참여연대 동구주민회가 '유권자모임'을 통해 '주민 후보'를 출마시킬 계획이다.
김동렬 위원장은 "적어도 8개 구.군에 1명이상 당선을 목표로 적극적으로 주민후보를 찾고 지원하겠다"면서 "이번 선거는 어느 때보다 시민사회의 소통과 민주세력의 연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