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대구시당이 이른 바 '대구 6+2연대'의 참여 여부를 재고하기로 했다. 이유는 지난 16일 서울에서 발표된 '야4당 잠정합안' 때문이다. 이에 대해, 대구 민주노동당과 대구시민단체는 "서울 깨진다고 대구도 연대 깨야하나"라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빼고라도 연대해야 한다"는 말도 나왔다.
진보신당 "야5당 대답 보면서 결정"
진보신당 대구시당(위원장 조명래)은 3월 18일 오전 대구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야4당이 3월 16일 잠정합의한 안은 호혜존중의 연대정신이 훼손된 민주당의 패권주의와 묻지마-들러리 연대"라며 "야4당의 합의내용을 전면 거부한다"고 밝혔다.
'야4당 잠정합의안'은 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국민참여당을 포함한 야4당이 서울과 수도권의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야권후보단일화 잠정합의한 내용으로, 당시 진보신당은 이 합의안에 반발해 탈퇴를 선언했다. 현재 이 잠정합의안에 대해 민주당을 뺀 야3당은 수용했으나 민주당은 내부 반발로 '보류'된 상태다.
진보신당의 이같은 입장은 대구6+2연대의 공을 야5당과 시민사회로 넘긴 것으로, 보기에 따라 '탈퇴'로도 읽힐 수 있다. 그동안 이 연대에 참여해온 진보신당이 "참여 여부"를 거론한 것 자체가 사실상 '중단'이나 '탈퇴'인 셈이다.
다만, "야5당의 대답을 보면서 태도를 결정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대구6+2'는 지난 1월 구성된 '대구야5당.시민사회 정책연대'로, 민주.민노.창조.진보.국참당.사회당을 포함한 야6당과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대구경북진보연대를 포함한 시민사회 2곳을 이르는 말이다.
조명래 위원장의 말이다.
- 왜 기자회견을 했나?
= 서울의 야4당 잠정합의안은 '민주당 패권주의와 묻지마-들러리 연대'일 뿐이다. 이런 합의안에 대한 거부 입장을 밝히기 위한 기자회견이었다.
- 대구6+2연대에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탈퇴한다는 말인가?
= 탈퇴 여부, 다른 정당들이 기분 나빠 할 것 같은데...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야권연대에 대해 우리 입장은 그렇다.(조 위원장은 이 부분에 구체적인 답을 하지 않았다)
- 3월 22일 대구6+2연대 실무회의가 열린다. 참가할 것인가?
= 일단은 사람을 보낼 생각이다. 다른 정당의 얘기를 들어보고 결정하겠다.
- 대구의 연대는 처음부터 서울과 별개로 움직이지 않았나. 그런데 왜?
= 서울의 야4당 잠정합의안을 보면, 대구을 비롯한 광역단체장 후보단일화 문제를 3월 31일까지 결론짓겠다고 나와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 아닌가. 결국 민주당의 패권주의만 키워주는 일이다.
"진보신당, 주체적인 자세가 아니다"
진보신당의 이같은 입장에 대해 '대구6+2연대'에 참여하고 있는 다른 정당과 시민단체는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특히, "기본적으로 연대는 각 지역별로 알아서 해야 하고, 지역이 독자적으로 주체적 입장에서 바라볼 필요 있다"면서 "대구에서 반MB.한나라당연대는 여전히, 반드시 필요하고 야권의 후보단일화 논의까지 가야 한다"고 말했다.
"보기 안좋다. 빼고라도 일단 추진해야"
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 이승천)도 논평을 내고 "대구의 야6당 정책연대는 대구에서 결정한다는 자세로 지금까지 합의를 통해 이룬 성과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 문제는 대구에서...대승적 차원에서 함께하자"
민주당은 특히, 그동안 야6당의 정책연대가 "‘전국의 상황에 대해 참고하지만 중앙의 흐름과 관계 중앙의 흐름과 관계없이 대구에서 결정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는 점을 지적하고, "진보신당 대구시당이 대승적 차원에서 대구지역 야6당의 공동승리를 위해 지금까지 이룬 정책연대의 성과를 이어가고 나아가 더 높은 단계의 연대를 위한 공동의 노력에 함께하기를 당부 드린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신당 '참여 여부' 재고 / "빼고라도 연대해야...대구 문제는 대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