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27재보궐선거를 앞두고 대구 야5당이 다시 '야권연대' 테이블에 마주 앉는다.
지난 해 6.2지방선거 때 '야권연대'로 기초의원 11명을 당선시킨 야5당은, 오는 4.27재보선에서도 '후보 단일화'를 통한 의회 진출을 바라고 있다. 실제로, 민주당을 비롯해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창조한국당 시당위원장은 지난 1월 정례모임에서 4.27재보선 '야권연대'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그러나, 단일화 방식에 대해서는 계산법이 다르다.
4.27재보선...대구 기초의원 3곳 '보궐'
대구에서는 4.27재보선 달서구 라(진천.월성1.2), 달서구 마(상인1.3동), 서구 가(내당1, 2.3동, 4동) 선거구를 포함한 3곳에서 기초의원을 뽑는다. 이들 선거구는 모두 해당 의원이 세상을 떠나면서 '보궐선거'가 확정됐다. 3곳 모두 6.2지방선거 때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된 선거구로, 달서구 라(3인 선거구)를 뺀 2곳은 각각 기초의원 2명을 뽑는 2인 선거구다.
2월 9일 현재 선관위에 등록된 4.27 대구 예비후보는 달서구 마 선거구에 이미경(44.민주노동당), 달서구 라 선거구에 정종환(44.무소속) 후보 2명 뿐이다. 전국적으로는 4.27 재보선에 국회의원 3명(성남분당을.순천.김해을)과 광역단체장(강원도지사), 기초단체장 2명(울산 중구.동구), 광역의원 3명(울산.충북.전북), 기초의원 6명(대구3, 경기.전북.경남)을 포함해 15명을 뽑게 된다.
민노 '달서 마', 국참 '서구'... 민주, 달서 2곳 거론
대구 야5당은 4.27보궐선거를 앞두고 예비후보를 등록하거나 후보 내정을 서두르고 있다.
민노당은 지난 1월 24일 달서구 마 선거구에 이미경(44) 전 대구시당 사무처장을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미경 예비후보는 당시 기자회견을 통해 "노동이 존경받는 달서구, 아이 키우기 좋은 달서구"를 내걸고 "부자정치 청산과 노동자 서민, 사회적 약자가 고루 편안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데 밑거름이 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2곳에는 출마 계획이 없다. 민노당 대구시당 송영우 사무처장은 "이미경 후보 선거에 집중하기로 했다"며 "서구나 달서구 라 선거구에는 출마하지 않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밝혔다.
국민참여당도 사실상 후보를 내정했다.
대구시당은 서구 가 선거구 후보로 민부기(40)씨를 내정하고 9일 중앙당 '예비자격심사'에 들어갔다. 대구시당 백재호 사무처장은 "빠르면 이번 주중에 민부기씨가 예비후로 등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참당 역시 서구 한 곳에만 후보를 낼 예정이다. 민부기씨는 6.2선거 때 이 곳에 출마해 낙선했다.
민주당은 아직까지 후보를 내정되지 않은 가운데 달서구 2곳에서 후보가 거론되고 있다.
대구시당 최경호 조직국장은 "달서구 2곳에 1명씩 출마 의사를 갖고 있다"며 "빠르면 이번 주중에 후보가 내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서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실명이 거론될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진보신당과 창조한국당은 후보를 모색 중이거나 출마 계획이 없다.
진보신당 조명래 시당위원장은 "달서구 2곳에 후보를 모색하고 있다"며 "현재 달서구 마 선거구에 A씨의 출마를 논의하고 있으나 본인이 여러 사정으로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구에는 특별히 거론되는 후보가 없다. 창조한국당은 이번 4.27선거의 출마 계획이 아직 없다. 김귀현 사무처장은 "현재로서는 준비하는 사람이 없다"며 "3곳 모두 후보를 내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달서 마' 경합 가능성..."정치적 협상" vs "경선"
이들 야5당은 '야권연대'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가운데, 후보가 겹치는 선거구의 '단일화' 방식에 대해서는 '정치적 협상'과 '경선'으로 의견이 나뉘고 있다. 특히, 지난 6.2지방선거 때 "양보했다"는 쪽에서는 다른 정당의 "양보"를 요구하고 있다.
9일 현재로서는 '달서구 마' 선거구에 후보가 겹칠 가능성이 크다. 민노당이 이미 예비후보로 등록한 가운데, 민주당도 출마 의사를 갖고 있으며 진보신당 A씨의 출마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노당은 '정치적 협상'을 통한 단일화를 생각하고 있다. 송영우 사무처장은 "우선 정치적 협상으로 풀어야 한다"며 "그 협상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때 가서 다른 방식을 생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경선'에 무게를 두고 있다. 최경호 조직국장은 "기본적으로 당 후보를 정하고 연대를 추진할 것"이라며 "어느 한 쪽이 일방적으로 정치적 양보를 요구하기 보다 여론조사 같은 경선을 통해 단일 후보를 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김희섭 시당위원장도 "여기는 누구, 저기는 누구 식으로 나누는 게 아니라 여론조사를 해서 경선하자"고 신년기자회견(1.26)에서 제안했다.
국민참여당은 '양보에 따른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백재호 사무처장은 "서구 가 선거구는 6.2선거 때도 출마한 민부기씨의 지역구인데다, 6.2선거 때 진보신당 장태수 후보에게 사실상 양보를 했다"며 "이번에는 다른 야당들이 당연히 밀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진보신당 조명래 시당위원장은 "정당들의 이해관계를 넘어 여러 계층.계급이 연대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민주당 변수"..."일방적 양보는 안돼"
민노.국참당은 연대의 변수로 '민주당'을 꼽고 있다. 두 당 모두 달서구 마 선거구와 서구에 예비후보를 등록했거나 사실상 후보를 내정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주당이 뛰어들면 복잡해진다"는 반응이다. 반면, 민주당은 "일방적인 양보 요구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앞서, 대구 야5당은 지난 해 11월부터 시당위원장들은 격월로, 사무처장들은 매월 정례모임을 갖고 있다. 지난 6.2선거의 '야권연대'를 이어가고 있는 셈이다. 특히, 시당위원장들은 올 1월 모임 때 '4.27 단일화'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때문에, "최종 후보단일화 여부는 시당 위원장들의 3월 모임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게 당직자들이 공통된 의견이다.
한편, 4.27재보궐선거의 후보 등록은 4월 12일부터 13일까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