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진보신당을 탈당한 '새진보통합연대'는 지난 12월 26일 '통합 서약식'을 갖고 대구시당의 대표단과 조직 운영에 대해 합의했다. 이들 3주체는 합의문을 통해, 내년 총선이 끝날 때까지 민주노동당 남명선, 국민참여당 윤보욱, 통합연대 강신우 대표를 '공동시당위원장'으로 하되,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할 법적 대표는 남명선 대표가 맡기로 했다. 또, 대의원대회 성격의 '운영위원회' 의장은 국민참여당 대표가, 매월 열리는 '상임운영위원회' 의장은 통합연대 대표가 맡기로 역할을 나눴다.
그런데, '통합 서약식' 불과 며칠 만에 공동시당위원장 문제가 불거졌다. 그동안 입당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선관위에 예비후보 등록을 한 통합연대 조명래 후보가 12월 28일 통합진보당에 입당하면서 '통합연대' 몫의 시당위원장 자리에 변수가 생겼다.
'합의문'에 서명한 통합연대 강신우 대표는 12월 29일 공동대표단 회의에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통합연대 몫의 '공동시당위원장'을 조명래 후보로 교체할 것을 요청했다. 그동안 '통합연대 대구 대표'를 맡아 온 조명래 후보 역시 자신이 공동시당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합진보당은 3주체의 대표가 공동시당위원장을 맡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통합연대측 공동시당위원장 자리는 교체 대상도, 논의 대상도 아니다"는 말이다.
그러나, 옛 민주노동당측은 난색을 보이고 있다. 공동시당위원장 자리가 3주체 각각의 몫이라 하더라도, 이미 '통합 서약식'을 한만큼 당내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송영우 사무처장은 "이미 통합 서약식까지 했기 때문에 당내 절차에 따라 공동시당위원장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명선 공동시당위원장도 "현 통합진보당 체제는 총선 이후까지의 한시적.과도기적 체계"라면서 "가능하면 강신우 위원장이 총선 때까지 계속 맡는 방향으로 해달라고 강 위원장에게 부탁했다"고 말했다. 한 당직자는 "서약식 한 지 며칠 됐다고, 합의문 잉크도 마르기 전에 위원장 자리를 바꾸는 게 공당으로서 말이 되느냐"고 불만을 드러냈다.
결국 이 문제는 오는 1월 4일 열리는 '상임운영위원회'에서 다뤄지게 됐다. 매월 열리는 '상임운영위원회'는 일상적인 당 업무 전반을 논의하는 기구로, 옛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통합연대가 각각 12:7:2의 비율로 꾸려진다. "교체 대상도, 논의 대상도 아니다"는 조명래 후보측 입장과 달리, "당내 반발이 많다"며 "어떤 쪽으로 결정될 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옛 민노당측 의견도 많다.
한편, 통합진보당 대구시당은 오는 1월 11일 '창당' 성격의 당 개편대회와 함께, 이정희.유시민.심상정 당 공동대표의 토크 콘서트를 대구에서 열 예정이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합진보당> 통합연대 조명래 "논의 대상 아니다" / 민노 "당내 절차 거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