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의 수요일..."위안부 한일합의는 우리 역사의 치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 수요집회 "역사 수포로 돌리는 참담한 결과...전면 무효ㆍ재협상해야"


"24년의 수요일, 24년째 외침" 수요집회 24년째를 맞아 대구에서도 수요집회가 열렸다.(2016.1.6. 대구백화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24년의 수요일, 24년째 외침" 수요집회 24년째를 맞아 대구에서도 수요집회가 열렸다.(2016.1.6. 대구백화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수요집회 24년째를 맞아 대구에서도 '한일합의'를 규탄하는 수요집회가 1월 6일 낮 대구 동성로에서 열렸다. 대구에서 수요집회가 열린 것은 지난 2015년 8월 12일 이후 5개월만에 처음이다.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대구경북진보연대', '대구평화나비'를 비롯한 시민단체와 시민 70여명은 "위안부 한일합의(12.28) 무효"와 "전면 재협상'을 촉구했다. 특히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소통없이 이뤄진 이번 합의에 대해 "외교 야합"이라며 "그동안의 논의를 수포로 돌리는 참담한 결과이자 우리 역사의 치욕적인 아픔"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수요집회는 국내 주요 도시와 세계 10여개국 30여 곳에서 동시에 열렸다.

참가자들은 '일본에겐 면죄부를, 국민에겐 모멸감을', '굴욕적인 외교야합 무효', '즉각 재협상' 내용의 피켓을 들었다. 지나가던 시민들은 걸음을 멈추고 피켓과 집회를 지켜보기도 했다.

대구 수요집회(2016.1.6. 대구백화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대구 수요집회(2016.1.6. 대구백화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안이정선(55)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대표는 "한일 외교부장관 합의를 발표한 12월 28일은 한국 역사상 가장 치욕적인 날로 남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청와대가 성명서를 통해 '위안부 문제는 할머니들이 살아계실 때 해결하는 게 도리'라며 '이번 타결안을 큰 성과'라고 밝힌데 대해 "제대로 된 합의가 아니기에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상현(26) 경북대학교 총학생회장은 "일본은 과거 저지른 잘못을 사과 한마디로 끝냈다"며 "일본과 정부는 10억엔으로 민족적 아픔을 덮으려한다"고 말했다.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친구를 기다리다 수요집회에 참가했다는 대학생인 김민지(22)씨는 "진정성 없이 돈 줄테니까 사과 받으라는 식"이라며 "외교적으로도, 도의적으로도 예의가 아닌 것 같다"며 한일합의를 비판했다. 또 "서울에서는 활발하게 진행되지만 대구에서는 그렇게 많이 알려지지 않아 아쉽다"고 덧붙였다.

집회를 지켜보던 대학생 이현우(25)씨도 "독일은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을 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그동안의 책임을 회피해왔다"며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일본 정부를 비판했다.

대구에서는 지난 2011년 수요집회 1,000회와 2012년 1,005회를 맞아 전국 동시 수요집회를 가졌으며, 지난해 8월 12일에도 동성로에서 수요집회를 열었다.

수요집회는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을 앞두고 서울시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첫 집회를 가진 뒤 매주 빠짐없이 이어지고 있다. 일본이 요구사항을 들어줄 때까지 집회를 하기로 했지만 일본의 계속적인 책임회피로 2016년 1월 6일 24주년, 1,212회를 맞았다. 이는 단일주제로 열린 최장기 집회기록이다.

지난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의 첫 증언 이후 위안부 할머니들은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전쟁범죄로 인정하고 ▷진상규명을 통한 역사교육 실시와 ▷공식적인 사죄와 법적배상, ▷전범자처벌, ▷위령탑과 사료관 건립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은 일부 우익인사들이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강제동원이 아닌 자발적인 동행이라고 주장하는 등 아직까지 공식적인 사과와 배상을 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미국에서는 지난 2007년 '위안부 관련 결의안'이 하원 본회의를 통과한 것을 비롯해 국제사회의 이슈가 되고 있다.

대구 수요집회(2016.1.6. 대구백화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대구 수요집회(2016.1.6. 대구백화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인턴기자

한일 정부는 지난해 12월 28일 윤병세 외교통상부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해결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 합의안은 '평화의 소녀상' 이전을 조건으로 한국정부가 '위안부'재단을 설립하면 일본정부는 기금 10억엔을 출연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일본정부의 진정한 사과와 책임인정, 법적배상을 외면한 점,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의 참여가 배제된 점 등에서 비난을 사고 있다.

특히 '위안부' 문제의 상징적인 조형물인 평화의 소녀상 철거와 이전에 대해서도 큰 반발이 일고 있다. 여성단체와 대학생들은 소녀상을 지키기 위해 12월 31일부터 노숙농성에 들어갔다. 일본 대사관 앞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은 지난 2011년 12월 14일 1,000회 수요집회를 맞아 시민들의 기금으로 설치됐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