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우체국 위탁 택배노동자들이 "생계 위협"을 호소하며 우정본부를 규탄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 대구경북지부(지부장 원경욱)는 3일 오전 경북지방우정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우정사업본부와 물류지원단이 위탁 택배노동자들의 적정 물량을 보장하지 않아 생계가 악화되고 있다"며 "1인당 일 평균 배송 물량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경북지방우정청(청장 이현호)과 노조에 확인한 결과, 우체국 위탁 배달원들은 우정사업본부 소속 공공기관인 물류지원단과 위탁·수탁 계약을 맺은 특수고용노동자로 우체국 택배 배송업무를 맡고 있다.
공무원인 집배원과 우체국 소포를 나눠 배달하지만, 기본급을 보장받지 못하고 배달 수당 위탁수수료를 급여로 받는다. 대구경북지역 위탁 택배노동자 수는 모두 270명이다.
수수료는 지역과 택배 무게별로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1,100원 정도다. 이들의 월평균 매출액은 395만원 정도지만, 노조는 매출액의 35%가량이 차량 유지비 등으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보고 있다. 100만원 가량이 부대비용으로 빠지고 있는 것이다.
노사에 따르면, 노조와 우정사업본부 우체국물류지원단은 지난해 5월 단체협약에서 월평균 하루 175개~190개 수준의 택배 물량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
노조는 위탁 택배노동자 1인당 하루 평균 최저물량인 175개에 미달한 총괄우체국이 지난 3월 기준 전국 202곳 중 65곳(32%)에 이른다고 밝혔다. 대구경북은 3월 기준 21개 총괄우체국 중 15곳(71%)이 최저물량을 지키지 못했다.
게다가 우체국에서 대여하는 택배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교체하게 되면 매달 40만원 수준의 리스비(차량운용비+차량보험료)가 60만원으로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 유류비 등을 포함하면 택배노동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더 늘어난다. 물량이 줄어 수입도 줄어드는 상황인데, 부대비용은 늘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노조는 "우체국 택배노동자들은 우체국에서 집배원들이 배송할 수 없는 택배 물량을 배송하고 있으며, 적정한 수입이 보장돼야 하기 때문에 단체협약을 통해 물량을 보장받아 왔다"며 "물량이 모자란다면 단체협약에서 합의된 대로 위탁 비중을 늘려 적정 물량을 보장해야 하나, 오히려 위탁 비중이 감소해 택배노동자들은 생계 곤란을 호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정사업본부는 고정급을 받는 집배원들에게 택배를 넘길수록 이익을 받는 구조 석에서 어떻게든 집배원들에게 택배를 떠넘기고, 위탁 택배노동자들의 물량을 줄이려 하고 있다"면서 "그 결과 집배원들은 과로로 힘들어하고, 택배노동자들은 생계를 위협받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재식 택배노조 대구경북지부 부지부장은 "지방에서 근무하는 우체국 택배노동자들은 단협에서 합의된 물량을 보장받지 못해 고통받고 있다"며 "우정사업본부와 우체국 위탁 배달 원가를 재산정해 배달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사윤 택배노조 우체국본부 동대구지회장은 "고물가·고금리로 고통받는 가운데, 우정사업본부는 우체국 위탁 택배노동자들의 삶을 더욱 팍팍하게 만들고 있다"면서 "우체국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도 우정사업본부는 단체협약에 명시된 물량을 절대 주지 않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에 대해 위탁배달원의 일 평균 배달 물량은 증가했고, 단체협약 합의사항을 준수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지난달 20일 설명자료를 내고 "소포우편물 물량 증대를 위해 노력한 결과 소포 위탁배달원의 1인당 일 평균 배달 물량은 지난해 기준 180개에서 올해 4월까지 187개로 증가했다"며 "대다수의 지역에서는 택배노조와의 단체협약 합의사항을 준수하고 있으며, 미달 관서에 대해서도 배달구역 조정 요청 등의 이행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우정사업본부 우편집배과 관계자는 "위탁택배원들은 개인사업자로 분류돼 기본급이라는 개념이 없고, 한 달간의 수수료에 따라 급여를 책정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차량 리스의 경우 영업용 차가 없는 사람에 대해서만 차량을 대여해주는 것"이라며 "대기환경보전법 등에 따라 올해 초부터 신규 디젤 차량이 등록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때문에 "중고 디젤 차량 물량이 없다 보니 친환경 차량을 사용해야 한다"면서 "차량 대여 가격이 조금 올라가는 것뿐"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