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대구 '부동산 탈세' 실태...편법증여·기획부동산 5년간 1,349건 적발, 추징금 1,055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정감사] 적발 유형 1위 양도세 미납
2위 자금출처 미확인, 3위 법인 쪼개기
전국 2만,2029건, 추징세액 1조7,217억
차규근 "서민의 주거 안정 방해, 처벌"  

대구지역의 부동산 탈세 실태가 드러났다. 

편법증여와 기획부동산 등 수법으로 지난 5년 동안 적발된 탈세 건수는 1,349건에 이른다.  걷어들인 추징세액은 1,0000억원이 넘는다. 대구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적발된 부동산 탈세 건수는 2만여건, 추징금은 1조를 넘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56.비례대표) 국회의원이 지난 29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 동안 편법증여 등의 방식으로 적발된 전국 부동산 탈세 건수는 2만2,029건에 달한다. 추징세액은 1조7,217억원이다. 

대구 중구 동인동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2023.11.23)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중구 동인동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2023.11.23)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동구 신암동 일대 부동산 임대 문의 전단지가 곳곳에 붙었다.(2023.2.22)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동구 신암동 일대 부동산 임대 문의 전단지가 곳곳에 붙었다.(2023.2.22)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부동산 탈세 의심자료>를 국세청으로 통보한 자료와 국세청 자체 조사를 통해 확인한 탈세 의심 자료에서 확인된 결과다. 

부동산 탈세 적발 유형 별로 보면, 양도세를 제대로 납부하지 않아 추징당한 경우가 1만9,103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추징세액은 1조3,317억원에 달한다. 

2위는 부동산 매매 자금 출저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아 적발된 사례로 2,576건으로 나타났다. 추징세액은 2,076억원으로 조사됐다. 

개발이 어려운 임야와 맹지 등을 '법인' 명의로 구입한 뒤 지분을 쪼개서 되파는 형식의 '기획부동산'은 350건으로 3위를 차지했다. 추징액은 1,824억원이다. 

지역청별 적발 건수를 보면, 대구지방국세청의 경우 최근 5년 동안 부동산 탈세 1,349건을 적발하고 추징금 1,055억원을 징수했다. 2019년 275건 적발에 추징금 253억원, 2020년 적발 235건에 추징금 172억원, 2021년 적발 277건에 추징금 190억원, 2022년 적발 291건에 추징금 257억원, 2023년 적발 271건에 183억원을 추징했다. 

2019년~2023년 국세청 부동산 거래 관련 조사 실적 / 자료.차규근 의원실
2019년~2023년 국세청 부동산 거래 관련 조사 실적 / 자료.차규근 의원실
최근 5년간 지방국세청별 부동산 거래 관련 조사 실적 / 자료.차규근 의원실 
최근 5년간 지방국세청별 부동산 거래 관련 조사 실적 / 자료.차규근 의원실 

탈세가 가장 많이 적발된 곳은 서울이다. 서울청 적발 건수와 추징금은 8,542건에 6,98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부청 4,171건에 3,221억원, 부산청 2,650건에 2,046억원, 인천청 2,224건에 1,556건, 대전청 1,653건에 1,1188억원, 광주청 1,444건에 1,162억원 순이다. 7개 지방 국세청 가운데 1위는 서울청, 7위가 대구청이다.

최근 윤석열 정부가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과 거래량이 늘어나 집값 담합 등 신고가 증가하자 주택 시장을 불안하게 만드는 불법행위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하겠다고 발표했다.   

차규근 국회의원 / 사진.차규근 의원실
차규근 국회의원 / 사진.차규근 의원실

만일 조사 결과 탈세 혐의가 의심돼 국세청으로 통보될 경우 국세청은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탈세 혐의를 확인하고 세금을 부과한다.

적발 건수 이외에 최근 5년간 국세청이 국토부와 지자체로부터 통보받은 탈세의심 현황은 전체 3만7,783건에 이른다.

차규근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부동산 탈세 행위는 서민의 주거 안정을 방해하는 행위"라며 "최근 부동산 거래량과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이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엄격한 조사와 강력한 처벌로 부동산 탈세를 근절시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