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산불이 발생한지 23시간 만에 주불이 잡혔다.
260ha(헥타르), 축구장 364개 크기의 산림이 불에 타 사라졌다.
대구시와 대구소방본부는 "29일 오후 1시 기준으로, 북구 노곡동 산12(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의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 28일 오후 2시쯤 산불이 난지 23시간 만, 이틀째에 불이 꺼졌다.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산불영향 구역은 모두 260ha로 집계됐다. 화선은 11km다. 소방당국은 향후 추가 조사에 따라 피해 규모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봤다. 다행히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다.
대구 도심에서 산불이 발생한 것은 35년 만이다. 입산 금지 구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원인은 아직 찾지 못했다. 향후 수사를 통해 구체적인 산불이 난 이유를 밝힐 예정이다.
앞서 28일 오후 2시 함지산에서 원인 불명의 산불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들어갔다.
건조한 날씨에 더해 최대 풍속 15m의 강풍이 한때 불어 산불은 빠르게 확산했다.
산림청은 산불 첫째날인 28일 오후 3시 10분쭘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했다.
하지만 산불이 더 커지자 오후 3시 40분쯤 대응 2단계로 상향했다.
이어 오후 6시 산불 대응 최고 단계인 3단계로 격상했다.
산불 대응 지휘 체계도 대구 북구청장에서 대구시장 권한대행으로 바꿨다.
국가 소방동원령도 이날 오후 4시 5분쯤 내려졌다.
진화 헬기 53대를 포함해 진화 차량 205대, 진화 인력 1,551명을 투입해 산불 진화에 안간힘을 썼다.
해가지고 헬기 작업을 할 수 없게 돼 산불을 끄는데 더 애를 먹었다.
산림 당국은 야간 진화 체제로 변환 후 밤새 주불을 끄는데 집중했다.
밤사이 야간 비행이 가능한 수리온 헬기 2대가 동원되기도 했다.
특히 민가 쪽으로 산불이 내려오는 것을 막기 위해 산림에 산불지연제(리타던트)를 살포했다.
노곡동과 조야동, 서변동, 동변동, 구암동 등 한때 주민 2,000여명이 대피했다.
팔달초등학교와 열린요양원 등으로 피신해 텐트에서 지냈다.
노곡교와 조야교, 무태교, 북대구IC(나들목) 등 5개 도로가 한때 통제됐다가 현재 정상화됐다.
함지산 산불로 인해 대구 북구를 비롯해 동구와 중구에서도 매캐한 탄 냄새와 비화(飛火.불똥이 강풍으로 인해 날아가는 모양) 현상이 발견되기도 했다.
산림 당국은 혹시 남았을지 모를 잔불 진화에 나선다.
또 산불 원인 조사와 최종 피해 면적도 집계한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29일 산불 현장 브리핑에서 "23시간 만에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며 "인명 피해는 없었다. 재산 피해는 조사 중이다. 큰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어 "대구시는 신속한 피해 복구와 주민 생활 안정을 위해 가용 자원을 모두 동원해 일상 회복을 돕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