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내 문화유산 383곳을 관리하는 인력이 12명에 불과해 행정사무감사에서 "관리가 제대로 안될 것"이라며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박창석(군위군) 대구시의원은 10일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문화유산돌봄사업 관리 문화재가 383개인데, 관리 인원은 12명"이라며 "한 사람이 문화유산을 몇 개나 관리해야 하냐"고 물었다.
박창석 의원이 이날 공개한 자료를 보면, 대구지역 내 관리대상 문화유산은 모두 383개다. ▲국보와 보물, 천연기념물 등 국가지정유산 43개 ▲국가등록문화유산 12개 ▲시.도지정유산 132개 ▲비지정국가유산 196개다.
이 문화유산들은 '문화유산돌봄사업'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상태를 확인하고, 손상이 발생하면 조치하거나, 재난 발생 시 복구를 지원한다. 국가유산청과 국가유산청이 예산을 반반씩 분담한다. 올해 예산은 모두 10억3,800만원이다. 대구시는 공산문화유산연구원에 사업을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관리 인력이 너무 부족하다는 점이다. 대구지역 내 383개 유산을 관리하는 인력은 12명으로, 1명당 32개 정도를 담당하고 있다. 중앙문화유산돌봄센터 지침은 1인당 10~12개를 담당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그보다 3배가량이나 많은 셈이다.
문화유산 1건당 투입되는 예산도 다른 시.도의 절반 수준이다. 대구는 유산 하나당 투입되는 예산이 271만1,000원이다. 반면 광주는 553만1,000원(관리대상 175개, 예산 9억6,800만원)이고, 인천 547만7,000원(관리대상 195개, 예산10억6,800만원), 대전 528만5,000원(관리대상 207개, 예산 10억9,400만원) 등이다.
박 의원은 "다른 지역의 문화유산돌봄사업을 보면 한 사람당 10~12개 정도가 가능한 범위라고 생각하는데 너무 많다"며 "문화유산 관리가 되겠냐는 지적이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실제로 지난 4월 북구 함지산 산불 당시 별다른 피해가 없었긴 했지만, 산자락의 운곡서당은 관리 인력이 제대로 대처를 못했다는 이야기가 있다"면서 "이는 모두 인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대구시는 "내년도 예산을 1억원 증액했다"며 "국비 증액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재성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국가유산청에 예산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는데 다른 시.도에 비해 적은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에는 예산 1억원을 증액했다"면서 "직원은 1~2명 더 충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래도 부족하다.(국비를 더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