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몫으로 위촉된 민주당 대구시당의 공심위원 3명이 열흘 만에 자리를 내놨다.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공심위원으로 확정됐으나 아직 위촉장도 받지 않은 상태의 탈퇴다.
민주당 대구시당은 지난 12일 오는 6.2지방선거 '공직후보자추천심사위원회(공심위)'를 구성하면서, 전체 15명 가운데 시민단체 대표급 인사 4명을 공심위원으로 위촉했다. 특히, 시당위원장이 맡던 '공심위원장'으로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대표를 지낸 대구대교수협의회 전형수 의장을 위촉하기도 했다.
그러나, 위촉 열흘 만인 지난 22일 시민단체 인사 4명 가운데 3명이 탈퇴했다.
전형수 의장을 비롯해 김영순(대구여성회 회장).김동렬(대구KYC 대표)씨가 공심위원 자리를 내놨고, 대구민예총 이정건 부회장만 그대로 남았다. 때문에, 민주당 대구시당은 공심위원을 다시 위촉하기 위해 지역 인사들을 접촉하고 있다.
그는 "공심위원은 중앙당 최고위원회에서 결정하는데, 실컷 결정해놓은 공심위를 다시 올리려니 솔직히 면목이 서지 않는다"면서 "정말 소통하기 어렵다. 정말 일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민주당 대구시당은 자리를 내놓은 전형수.김영순.김동렬 대표 후임으로 역시 교육.여성.시민단체 대표급 인사를 외부 공심위원으로 접촉하고 있다.
'공심위원'을 탈퇴한 시민단체 인사 3명은 "내부 문제제기"라고 이유를 밝혔다.
현재 전형수 의장은 지역 76개 단체로 구성된 < 2010년 대구교육자치를 위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원회> 상임대표를, 김영순 대표는 공동대표를 각각 맡고 있다. 또, 김동렬 대표는 '2010지방선거 야6당.시민사회 정책연대' 간사 역할을 맡고 있다.
김동렬 대표는 "정책연대 '간사'를 맡고 있는 사람이 특정 정당의 공천심사위원으로 들어가는 게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면서 "연대 논의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특별한 논란 없이 사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영순 회장도 "공동대책위 내부에서 '공심위원'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이 나왔다"면서 "단체에 부담이나 민폐가 될까 싶어 탈퇴했다"고 말했다. "전형수 상임대표 역시 같은 입장"이라고 김 회장은 전했다.
이들 대표 모두 '부담'이라는 말로 사퇴 이유를 밝혔으나, 공심위원으로 들어갈 때의 심정과 그 후의 '내부 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감추지 않았다.
김동렬 대표는 "민주당이 시민사회와 소통하기 위해 공심위원을 제안한 취지를 충분히 공감한다"면서 "지금은 야권과 시민사회의 연대논의가 무엇보다 중요한만큼, 굳이 이런 문제로 연대판이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생각으로 공심위원을 그만두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영순 회장도 "여성단체가 각 정당에 공심위원 여성 50%를 요구했고, 민주당이 그 요구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공심위원으로 참여했다"면서 "그러나, 시민사회 일부는 아직까지 정당에 대해 지나치게 경직된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민주당이 제1야당이지만 대구에서는 설 자리도 없지 않느냐"는 말도 덧붙였다.
민주당 이승천 시당위원장은 "시민사회 내부의 분위기를 이해 못하는 건 아니지만, 이쪽에서 마음을 열어줬으면 상대방도 조금은 마음을 열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정말 소통하기 어렵다. 정말 일하기 힘들다"며 답답함을 감추지 못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