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문화예술, 현장이 원하는 대구 10년의 청사진은?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입력 2014.11.28 15:5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무자 포럼 / "예술가 생계ㆍ공적지원 절실...대구문화재단, 플랫폼 역할 제대로 해야"


대구시가 2015년부터 10년간 '대구문화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지역 문화·예술단체 실무자와 예술가들이 대구문화 예술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대구문화예술현장실무자 정책네트워크>는 27일 대구 중구 대봉동 소셜마켓에서 '토건과 문화산업 패러다임을 넘어 대구문화예술다양성 확보를 위한 저변예술단체 실무자 대응'을 주제로 1차 포럼을 열었다. 이들은 대구지역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문화·예술단체 실무자, 예술가들로 대구 문화예술 정책문제점을 짚고 현장에서 필요로하는 정책을 대구시에 제안하기 위해 이 같은 자리를 마련했다. 이후 포럼에서 나온 정책을 내년 권영진 대구시장과의 면담에서 제안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권순신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대구지부(대구민예총) 문화예술연구소 정책실장, 김민혜·최성 독립출판물 서점 '더 폴락' 공동대표, 박인화 생활예술가, 서영우 동성아트홀 회원, 손병열(전 예술마당 솔 대표) 마을과문화 대표, 미술가 윤동희씨, 이창원 인디053 대표, 이현순 대구민예총 이사장, 가수 한민수씨, 한상훈 대구민예총 사무처장 등 11명이 참석했으며 2시간 가량 진행됐다.

'토건과 문화산업 패러다임을 넘어 대구문화예술다양성 확보를 위한 저변예술단체 실무자 대응' 1차 포럼(2014.11.27.대구 중구 대봉동 소셜마켓) / 사진.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토건과 문화산업 패러다임을 넘어 대구문화예술다양성 확보를 위한 저변예술단체 실무자 대응' 1차 포럼(2014.11.27.대구 중구 대봉동 소셜마켓) / 사진.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앞서 2005년 대구시는 2015년을 목표로 한 '대구문화중장기발전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2015년부터는 2025년을 목표로 한 새 중장기 계획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현재 용역연구기관에 계획서를 맡긴 상태다.

한상훈 대구민예총 사무처장과 미술가 윤동희씨는 대구시가 추진 중인 '만남의 미술관-이우환과 그 친구들(이우환 미술관)' 사업을 예로 들며 "이 같은 토건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사무처장은 "토건사업을 하면 건축비, 작품구입비 등 수백억원이 든다. 그러나 대구시가 지역예술가에게 지원하는 예산은 100~200만원 정도거나 그보다 적은 게 사실"이라며 "복지나 생계지원이 안돼 문을 닫은 곳도 많고 생산, 유통, 홍보까지 개인이 해야해 생활고에 시달리는 예술가도 많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 원인은 "공무원들이 예술 생태계를 파악하지도 않고 실제로 현장 예술가들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새 건물만 짓고, 유통과 홍보 담당을 해야 하는 대구문화재단 같은 곳이 플랫폼 역할을 못하기 때문"이라며 "토건사업보다 지역예술가 생계지원 정책이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정책 과제를 위한 토론 중인 참석자들(2014.11.27) / 사진.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정책 과제를 위한 토론 중인 참석자들(2014.11.27) / 사진.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미술가 윤동희씨는 "예술가들이 한 곳에 모일 장소가 있으면 기회가 없던 예술가에게도 기회가 주어진다. 그런데 대구에는 그런 공간이 부족하다. 문제 해결을 위해 공무원을 만나도 문화관점이 달라 괴리감만 느꼈다"면서 "이우환미술관이 대표적으로 잘못 진단하고 있는 사업"이라고 했다. "미술관은 한 사람을 위한 곳이지 지역예술가를 위한 곳이 아니다. 때문에 장소가 없으니 기회도 없고 기회가 없으니 작품활동도 하기 어렵고 생계가 어려워지게 된다"며 "생태계에는 다양한 종이 있어야 하는데 대구 예술계에는 대기업, 유명한 예술가만 있고 지역예술가가 없다. 공적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극, 공연 등을 위한 "인프라 부족"도 대구 문화예술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연극활동을 하는 이현순 대구민예총 이사장은 "25년간 연극을 했지만 5년 주기로 예술가들이 바뀐다"며 "육아, 결혼, 축산, 생계 이유로 지속적 활동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예술가들의 상호연구조직이나 통합예술교육 등을 할 수 있는 인프라 부족도 문제"라며 "대구문화재단에서 하는 기존의 방식이 아닌 현장 예술가들이 작품활동을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공간과 인력 구성 정책이 시급하다"고 했다. 가수 한민수씨도 "공연과 연습을 위한 공간과 이를 지원해주는 인프라가 없다"며 "길거리에서 주로 연습을 하고 공연을 해 이를 안정적으로 지원해줄 대구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용안정화'도 시급한 정책으로 꼽혔다. 이창원 인디053 대표는 "대구시는 건물을 지어주고 사업비 지원만 할 줄 알지 실제로 운영은 잘 모른다. 그래서 문화예술전문인력이 예술가와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 그러나 고용 불안으로 사업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대구시는 간섭만 하고 대구문화재단은 플랫폼 역할을 못해 컨트롤을 못하니 전문인력 고용안정화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포럼에는 대구 문화예술단체, 예술가 등 11명이 참여했다. / 사진.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포럼에는 대구 문화예술단체, 예술가 등 11명이 참여했다. / 사진.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문화예술현장실무자 정책네트워크>는 앞으로 '이우환미술관 설립 논란', '폐관위기 극장 동성아트홀'을 주제로 2·3차 포럼을 열 예정이다. 이 단체는 대구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목표로 지난 2011년 설립됐으며 대구지역 10여개 문화예술단체에서 일하는 실무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앞서 6.4지방선거 당시에는 대구시장 후보들과 '대구문화예술다양성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 협약식'을 맺기도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