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료원이 9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외래진료센터 신축을 추진하자, 홍준표 대구시장이 무산시킨 ‘제2대구의료원’ 건립을 재검토해봐야한다는 제안이 대구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나왔다.
김대현(국민의힘. 서구 제1선거구) 대구시의원은 18일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의 대구의료원에 대한 행정감사에서 이 같은 제안을 했다. 김 의원은 "최근 들어 외래진료센터 병동을 새로 짓는다는데 사실이냐"며 "새로 지으면 1,000억원에 가까운 900억원이 드는데 차라리 제2의료원을 재검토하는 게 어떠냐"고 했다.
현재 대구의료원은 본관 리모델링, 필수의료시설 공사 명목으로 지원 받은 국비와 시비 480억원을 전용하고 다른 예산을 더해 900억원대 '외래진료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제2대구의료원은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하면서 건립이 취소됐다. 홍 시장은 700억원 예산을 투입해 '기능강화'에 방점을 찍고 있다.
김 의원은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제2의료원 건립이 대두됐고, (코로나)전담병원이 실제로 필요하니 제2의료원이 있으면 훨씬 좋지 않겠냐"며 "현재 의료원이 멀리에 있어 거리적으로 떨어진 주민들에게는 공공성을 위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900억원을 들여 새 병동을 지으면 좋지만, 1천억 가까운 돈으로 신축을 할거면 제2의료원을 짓는다면 어떨까 싶다"면서 "다시 한 번 검토해보는 것을 제안한다"고 했다.
김승미 대구의료원 원장은 "외래진료센터 구축 노력을 하고 있지만, 병상 확보에 문제가 있어 확정된 바는 없다”고 했다. 이어 "480억원을 이쪽(외래진료센터)으로 돌려 지을 계획인데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의사 숫자 부족으로 인한 문제도 지적됐다. 대구의료원은 휴진과목 8개(2022년 9월 기준)로 운영되지 않는 과가 전국 공공의료원 중 가장 많았다. 이성오(국민의힘.수성구 제3선거구) 의원은 "소도시도 아니고 광역시인데 휴진과목이 최다인 것은 문제"라며 "꼴찌는 설명이 안된다. 시민들 입장에서 봐도 썩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코로나를 겪으며 내과 선생님들이 대거 퇴사한 탓"이라고 설명했자. 그러면서 "현재 의료진들에 대한 인건비 등 임금을 많이 올리고 처우를 개선해 이전보다 상황이 많이 개선되고 있다"고 답했다.
지자체 지원금보다 낮은 의료 수익도 질타 받았다. 이 의원에 따르면, 대구의료원의 수익은 지자체 지원금보다 낮다. 수익 금액 역시 공공의료원 중 꼴찌 수준이다. 부산, 포항, 안동, 김천의료원 등은 지원금보다 의료 수익이 많다. 이 의원은 "모든 것을 코로나로 치부한다면 이야기가 되지 않는다"면서 "감염병원 전담 해제 이후 기능 정상화를 한다고 하는데, 다른 병원들은 정상화했는데 유독 대구의료원만 왜 이러냐"고 따졌다.
김 원장은 "대구시 '대구의료원 지원 TF팀'과 7차례 회의를 통해 2023년~2024년까지 매년 16명씩 68명으로 의료진을 확충하고 있다"며 "경북대학교병원과 MOU를 체결해 인력 보강하고, 장비도 보강하고 있다”고 했다.
고질적인 간호사 부족 문제도 행감장에 올랐다. 대구의료원은 2020년 46명, 2021년과 2022년까지 매년 25명의 간호사가 퇴사했다. 김대현 의원은 "의료인력이 많이 부족한데 특히 간호사는 현원의 80% 밖에 안된다"면서 "임금이 적고 처우가 좋지 않은지 여러 복합적인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 원장은 "전반적으로 간호사 이직률이 높다"면서 "처우개선비, 간호수당, 야근수당을 올리고 전반적인 급여를 인상해 간호사들의 퇴직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병상 가동률이 절반 정도 밖에 안돼서 간호사를 뽑아놓고도 대기시킨 상황이라 더 그런 것으로 보이는 것 같다"고 해명했다.
▲임인환(국민의힘.중구 제1선거구) 의원은 코로나 7차 유행으로 인한 철저한 준비 ▲류종우(국민의힘.북구 제1선거구 ) 의원은 낮은 수술 실적(2018년~2019년 매년 1,000여건에서 2022년 하루 평균 1~2건으로 대폭 감소) ▲박우근(국민의힘.남구 제1선거구) 의원은 지역 유일의 '주취자응급의료센터'의 예산과 인력 낭비, 주취자 미수금 8,800만원(2022년 9월 기준) 등에 대해 지적하고 이와 관련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