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주요 일간신문들은 15일 인양된 천암함 함미와 실종 장병 36명의 주검 앞에 "섣부른 결론.추론"을 경계하며 "엄정한 사태 수습"과 "원인규명"을 촉구했다. 그러나, 일부 신문은 "북한 개입"에 여지를 두고 "천인공노", "군사적 대응"을 사설에 언급하기도 했다.
"섣부른 결론보다 객관적 조사 우선"
매일신문은 4월 16일자 < 엄정한 사태 수습만이 희생자에 대한 보답이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무엇보다 이 시점부터는 천암함 침몰 원인을 정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며 "섣부른 결론보다 모든 물적 증거를 확보하고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조사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또, "최종 판단은 모든 정황과 증거를 재구성해 움직일 수 없는 결론을 낸 후에 해도 늦지 않다"고 지적했다.
"더 이상의 추론 삼가...불필요한 오해 확산 자제해야"
대구신문도 16일자 사설 <처참한 천안함, 원인규명에 총력을>에서 "침몰원인에 대한 더 이상의 추론을 방송사나 언론 또는 정치인이 다루는 것은 삼가함이 옳다"며 "전문가를 자처하는 많은 인사들이 천안함 침몰과 관련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으나 국민의 호기심을 자극한 이상의 소득은 없다"고 지적했다.
경북일보 역시 16일자 사설 <천암함 사태 수습, 국민적 힘 모아야>를 통해 "더 이상 불필요한 오해를 확산시키는 행위를 자제하고 차분하게 조사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정부와 군은 무엇보다 먼저 신성한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다 희생된 장병들에 대한 사후수습에 최선을 다해야 하고, 국민 모두가 이들 희생 장병과 가족들에게 경의와 위로를 보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일보는 <軍은 지휘체계 문란의 진실을 밝혀라> 제목의 16일자 사설에서 "김태영 장관의 해명에 쓴웃음이 절로 나온다. 정말 국민을 바보로 알고 있는 것인가"라며 "이런 수준 낮은 해명을 하니 합참의장이 술을 마셔 보고를 받지 못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북한주민.미국 분위기...천인공노?
그러나, 일부 지역신문은 사설에서 '북한 개입' 여지를 두고 "천인공노", "군사적 대응"을 언급해 스스로 주장한 "추론 삼가"와 다른 자기모순에 빠지기도 했다.
"침몰원인에 대한 더 이상의 추론을 삼가함이 옳다"고 했던 <대구신문>은 같은 사설에서 "북한주민들은 이번 사건이 북측소행으로 믿고 있다고 한다. 미국 역시 6자회담을 천안함 침몰원인이 밝혀진 뒤로 미룸으로써 북한개입의 개연성에 무게를 싣고 있는 분위기"라며 "천인공노할 일이 아닐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의 믿음'이나 '미국의 분위기'는 객관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침몰원인'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인공노"라는 표현까지 쓴 것은 스스로 '추론 삼가'를 주장하며 '추론에 격분'을 더한 셈이다.
북한 소행 밝혀질 경우 군사적 대응?
<경북일보> 역시 "과연 북한이 연관됐는지 여부에 따라 향후 파장의 크기는 엄청날 것"이라며 "북한의 소행으로 분명하게 밝혀질 경우 군사적 대응방안도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직까지 '북한 연관'이나 '북한 소행'의 어떠한 단서도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기뢰나 어뢰 등 외부충격 가능성'만 있을 뿐이다. '외부충격' 가능성을 '북한 소행'으로 연관지는 것 역시 지나치게 앞서가는 것일 뿐 아니라, "더 이상 불필요한 오해를 확산시키는 행위를 자제하고 차분하게 조사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는 같은 사설의 지적에도 모순된다.
<대구일보>는 '軍 지휘체계 문란'을 비판하면서 "북한의 개입이 확인되면 군사적, 비군사적 대응을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영남일보는 지난 4월 6일 <천안함 원인 규명 軍 신뢰 달려있다>는 사설 이후 열흘째 '천안함'과 관련한 사설을 전혀 싣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