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입지평가 결과를 앞둔 30일자 조간신문의 화두는 '백지화'였다. 특히, '밀양'을 지지하는 대구지역 조간신문은 백지화 우려에 따른 '성토'로 지면을 채웠다. 신문 어디에도 '밀양 신공항' 전망은 없었다. 오히려, '백지화'에 따른 대안으로 과학벨트나 KTX노선이 전국 일간지에 보도되기도 했다.
경향 "과학벨트 쪼개나" / 조선 '영남-인천공항 KTX 검토'
경향신문은 30일자 3면에 "TK 달래려 과학벨트 쪼개나" 제목으로 '신공항 백지화'로 악화될 대구경북 민심을 달래기 위해 충청권 유치가 예정됐던 과학벨트 일부를 이 지역에 배치하는 방안이 여권에서 논의 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30일자 1면에 "신공항 당장은 부적절"이라고 김황식 국무총리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는 전언과 함께, 청와대와 여권이 신공항 대신 영남권에서 인천공항을 2시간 내에 연결하는 KTX 노선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국토해양부는 3월 30일 오후 3시 30분 정부과천청사에서 신공항 입지 평가 결과를 공개한 뒤 김황식 국무총리가 이 평가 결과에 대한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대구지역 언론은 이미 '백지화'를 예상한 듯 우려와 분노를 쏟아냈다.
영남일보, "몰표가 빚은 결과" / 대구일보 "TK 우롱하나"
<영남일보>는 30일자 1면에 "정부, 오늘 믿겠다"는 큰 제목으로 대구.경북.경남.울산 시.도지사의 입장을 실었다. 그리고, <신공항 '운명의 날'>이라는 특집으로 3,4,5면을 채웠다.
특히, 영남일보 3면에는 "결정나기도 전에 백지화라니" "한나라 몰표가 빚은 결과"라는 제목으로 밀양신공항 무산위기에 대한 대구시민의 분노를 전했다. 본문에는 "지방은 대한민국이 아니냐 / 지역간 싸움만 붙여놓은 꼴 / 대선공약을 이렇게 흐지부지 / 청와대의 의도에 불쾌감"이라는 제목이 달렸다.
이어, 4면에는 "백지화 절대로 수용 못해...공명정대한 판단 내려야 할 것"이라는 제목으로 4개 시.도의회 성명서 내용을 전하는 한편, 야권의 반응을 "이 대통령 공약 뒤집기, 퇴진으로 답해야"로 강조했다. 또, 5면에서도 '백지화'설에 대한 경북 출신 국회의원의 반응을 싣고, '신공항 침묵' 중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도 '정부발표 후 입 연다'고 보도했다.
<대구일보> 역시 30일자 1면 ["신공항 백지화 불인정" 초강경 규탄]에 이어, 3면 ["이제와서 백지화? TK 우롱하나" 등돌린 민심], 4면 ["백지화되면 어쩌나..." 지역의원들 회동 / 의원들, MB와 결별 가능성], ["신공항 백지화 절대안돼" / 영남권 4개 시.도의회 강력 투쟁] 제목으로 '백지화' 우려와 분노를 전했다. 이들 신문 어디에도 '밀양 신공항' 전망은 없었다.
분권운동대구경북 "신공항 기금운동"
이 같은 '백지화' 분위기 속에 대구의 한 시민단체는 동남권 신공항을 위한 '기금운동'에 나설 뜻을 밝히기도 했다. <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는 30일 성명을 내고 "국제신공항은 비수도권과 영남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라며 "(정부가 입지 선정을 유보하거나 백지화한다면) 동남권 국제신공항 건설을 위한 기금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단체 김종천 사무국장은 '기금운동'과 관련해 "기존에는 정부 보조금으로 사업했는데, 신공항이 지역에 꼭 필요하다는 것을 몸으로 표현하자는 취지"라며 "얼마라도 기금을 조성해 일단 시작하고 정부에 도와라고 하는 일종의 압박 수단"이라고 말했다.
성명에서는 또, "대통령은 신공항 건설 공약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면서, 입지 선정 유보나 백지화 할 경우 ▶"한나라당 지도부와 청와대 관련 수석 사퇴" ▶"국무총리, 국토해양부장관.차관 사퇴" ▶"국토연구원 해체"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이창용씨가 상임대표를, 김경민.엄태수.오창균.윤주태.최혜련.탁성길.해인.황종규씨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