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공무원의 '장애인 비하' 발언에 대해 넉달 만에 공개 사과했다.
대구시는 지난 4월 대구국제마라톤대회 지원단의 한 공무원이 '대한민국의 마라톤은 정상인 사람들이 뛰는 걸로 되어있다'라고 말한 것과 관련해 "장애인 차별발언은 시의 입장과 전면 배치되는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이에 언론을 통해 장애인 당사자에게 공개적 사과의 뜻을 밝혔다"고 8월 3일 보도자료를 냈다.
또, 당시 마라톤대회에 교통소통과 대회 안전을 이유로 휠체어 장애인들의 참가를 불허한데 대해서도 "사과"하는 한편, "앞으로 개최되는 국제마라톤대회 뿐 아니라 각종 체육행사에 장애인들의 참여를 적극 보장하도록 하는 등 이번 사건을 반면교사로 삼아 장애인 체육행사 참여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2011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장애인들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입장권 바우처 제도와 기부 문화를 적극 활용해 8일간 2,000여명이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등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지구촌의 축제에 함께 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대구시 체육진흥과의 한 공무원은 '장애인의 날'인 4월 20일 언론 인터뷰에서 "대한민국의 마라톤은 정상인 사람들이 마라톤 뛰는 걸로 돼 있지 장애인이라고 표시를 규정을 안하고 있습니다. 다음 대회때는 휠체어는 대상이 아니라고 표기를 하겠습니다"고 말해 장애인들의 반발을 샀다.
당시 이 공무원은 평화뉴스와 통화에서 "휠체어 같은 보조기구를 쓰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사람이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을 하는 과정에서 오해가 생긴 것 같다"며 "비장애인과 장애인을 정상인과 비정상인으로 구분할 의도는 전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장애인단체들의 '공개 사과' 요구에 대해서는 "이 것(정상인 발언) 하나로 언론에 밝히기는 어렵고, 다른 사안과 같이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사과의 말도 묶어 하겠다"는 입장을 보였고, 장애인단체들은 "진정성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며 기자회견과 집회를 통해 '공개 사과'를 거듭 요구해왔다.
때문에, 장애인단체들은 대구시의 공개 사과에 대해 "진정성을 더 보여줄 것"을 촉구했다.
지역 42개 장애인.인권단체로 구성된 <420장애인차별철폐 대구투쟁연대>는 3일 '대구시 사과에 대한 입장'을 통해 "약 4개월이 지난 뒤늦은 사과이지만 대구시의 말처럼 '반면교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진정 바란다"고 밝혔다. 또,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실수의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사회적 파장이 다르게 나타난다"며 "대구시는 이번 일련의 잘못을 교훈 삼아 앞으로 두 번 다시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게 다각도로 노력하고 공식 사과에 대한 진정성 또한 더욱 더 보여줄 것"을 촉구했다.
특히, "이번 사건이 단순한 체육행사의 문제가 아닌 대구시의 장애인권 수준을 드러내었던 사안"이라며, "대구시가 이번 사과에 대한 진정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소득보장 ▲주거정책 마련 ▲이동권 보장 ▲활동보조서비스 확대 ▲탈시설 권리 보장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등 대구시 장애인의 생존권적 요구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로 협의에 임하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