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대학 '부재자 투표소' 거부하는 대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K, 대구대ㆍ포항공대만 신청 / 민주당 "참정권 가로막나" / 경북대 "학생들 미신청"


대선 전 대구경북 지역 대학 중 '부재자 투표소' 설치 요청을 한 곳이 단 2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 18대 대선 부재자 투표가 오는 13-14일(오전 6시부터 오후 4시까지) 이틀 동안 전국에서 실시될 예정인 가운데,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10월말부터 11월초까지 대학생들이 투표일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나 각 구.군청 선관위에서 투표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각 대학에 부재자 투표소 설치 신청을 독려하는 공문을 보냈다.

이에 따라, 선관위는 각 대학이 오는 9일까지 부재자 2천명 이상을 모아 서면으로 신청하면 부재자 투표 당일 대학에 투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미 수도권에서는 지난달 20일부터 서울대와 고려대, 경희대, 중앙대, 서울시립대 등이 서면 신청을 끝낸 상태고 전국 다른 대학들도 계속 부재자를 모아 투표소 설치를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경북 지역 대학 중 투표소 신청을 한 곳은 '대구대'와 '포항공대' 단 2곳에 불과하고 경북대와 영남대, 계명대를 비롯한 대다수 대학들은 투표소 설치를 '거부'하고 있거나 확정하지 않고 있다. 특히, 경북대는 지난 4.11 총선과 2010년 지방선거 당시 부재자 투표소 신청 기준 2천명에 도달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투표소 설치를 요청해 1,700여명 학생들이 선거에 참여하도록 했지만, 이번 대선에는 기말고사와 방학을 이유로 투표소 설치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대학생 부재자 신청자를 돕는 대구참여연대 이승호 간사(2012.3.19 경북대)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학생 부재자 신청자를 돕는 대구참여연대 이승호 간사(2012.3.19 경북대)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게다가, 4.11 총선 당시에는 경북대 총학생회와 대구참여연대 등이 부재자 신청자를 접수받고 유권자운동을 펼치는 등 적극적으로 투표소 설치 운동을 진행했지만 이번 대선에는 이 같은 움직임도 전혀 일어나지 않고 있다. 또, 당시 경북대 내에서 유권자운동을 이끌었던 이건구 경북대 총학생회장이 지난 6월 사퇴한 후 각 단과대 학생회장으로 꾸려진 '중앙운영위원회'가 학생대표단 역할을 하며 다수결로 이번 대선 투표소 설치를 신청 않기로 결정했다.

때문에, 민주통합당 대구시당은 지난 11월 초에 경북대에 부재자 투표소 설치를 촉구하는 문서를 보냈고, 앞서 2일에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 대구 선거대책위원회 사무실에서 대구소재 대학 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를 요청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3일부터는 경북대 북문과 본관 앞에서 투표소 설치 촉구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부재자 투표소 설치 촉구 1인 시위(2012.12.3.경북대) / 사진. 문재인 대구 선대위
부재자 투표소 설치 촉구 1인 시위(2012.12.3.경북대) / 사진. 문재인 대구 선대위

민주통합당 대구시당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대선은 대한민국 미래를 결정하는 선거로 생애 첫 참정권을 행사하는 대학 신입생이나 재학생에게는 자신의 손으로 국가 지도자를 선택하는 명예롭고 영광스런 행위"라며 "대학이 그들의 소중한 참정권을 가로막는 안타까운 일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대구경북 지역 대다수 대학은 학생들이 시험공부에 쫓겨 투표를 행사하는 것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하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지는 선관위에 설치된 투표소를 찾아가도록 하고 있다"며 "이는 학생들의 참정권을 가로막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대구소재 대학 내 부재자투표소 설치 촉구 기자회견'(2012.12.2) / 사진. 문재인 대구 선대위
'대구소재 대학 내 부재자투표소 설치 촉구 기자회견'(2012.12.2) / 사진. 문재인 대구 선대위

특히, "투표 독려에 앞장 서야할 교육기관이 오히려 투표참여를 방해하는 것은 용납 할 수 없는 일"이라며 "대학 측은 학생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대학 내 투표소를 설치하도록 최대한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관 대구 선대위 대변인은 "학생들의 참정권을 위해 대학 측에 부재자 투표소 설치를 요청했지만 경북대를 비롯한 많은 대학들이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며 "민주통합당은 1인 시위를 통해 계속 설치를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경북대 측은 "동계 방학"과 "학생대표단 미신청"을 이유로 "투표소 설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육두환 경북대 학생처 학생지원팀장은 "대구선관위 공문을 받고 학생 대표단에게 투표소 설치 여부를 물었지만 학생대표단이 신청을 하지 않았다"며 "학생들이 원치 않는데 대학이 먼저 나서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또, "기말고사가 끝나고 18일부터 대학 방학이 시작돼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으로 돌아간다"며 "설치를 한다 해도 투표율이 미미할 것으로 보여 이번 대선에서 부재자 투표소 설치는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16-17 대선 당시에도 투표소를 설치하지 않았다"며 "정치적으로 해석하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 11월 21-25일 부재자 투표 신청을 접수한 결과, 18대 대선 부재자 투표 대상자는 108만6,68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선거인수 4천48만3,589명의 2.7%로 17대 대선의 81만755명보다 27만5,932명, 4·11 총선 86만1,867명보다 22만4,820명이 늘어난 수치다.

'2012 대한민국 대학생이 구하라' 부재자 신고 접수처(2012.3.19 경북대)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2012 대한민국 대학생이 구하라' 부재자 신고 접수처(2012.3.19 경북대)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