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또 다시 최저치를 경신해 30%까지 떨어졌다.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1월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동안 전국 성인 1,001명에게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물은 결과,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율은 30%에 그친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율은 60%로 긍정평가보다 두 배나 높았다. 10%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4%, 모름/응답거절 6%).
이는 지난 주와 비교해, 긍정평가는 5%포인트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5%포인트 상승해 부정률과 긍정률 격차가 20%포인트에서 30%포인트로 벌어졌다. 한국갤럽은 "지난 주에 이어 취임 이후 긍정률 최저치, 부정률 최고치를 또 한 번 경신했다"고 23일 밝혔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이상 각 세대별 긍정률은 모두 최저치를 기록했다. 20대부터 40대까지는 긍정률 약 20%, 부정률 70% 내외였고, 50대도 긍정 38%, 부정 52%로 2주 연속 부정률이 높았으며, 60세 이상에서만 긍정률(53%)이 부정률(38%)을 앞섰다.
특히, 60세이상에서는 처음으로 긍정률이 50%대 초반까지 하락하고 부정률은 40%에 육박했다. 이 연령대는 박 대통령 취임 100일 무렵인 2013년 6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직무 긍정률이 80%를 웃돌았고, 인사 파문이 일었던 작년 7월이나 12월에도 60% 후반으로 유지된 박 대통령의 절대적인 지지층이이었다.
박 대통령 직무수행 부정 평가자(599명)는 그 이유(자유응답)로 '소통 미흡'(17%), '세제개편안/증세'(15%)(+10%포인트), '경제 정책'(13%)(+4%포인트), '복지/서민 정책 미흡'(9%)(+4%포인트), '공약 실천 미흡/입장 변경'(8%), '인사 문제'(8%),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7%) 등을 지적했다. 반면, 긍정 평가자(305명)는 '열심히 한다/노력한다'(22%), '주관, 소신 있음/여론에 끌려가지 않음'(17%), '외교/국제 관계'(10%), '복지 정책'(10%), '대북/안보 정책'(7%)을 꼽았다.
한국갤럽은 "지난 주 긍정률 하락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드러난 대통령과 국민 여론의 거리감 때문이라면 이번 주 긍정률 하락의 주요 원인은 연말정산, 즉 '세제개편/증세' 논란이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부정 평가 이유에서 이와 관련한 경제 문제 지적이 눈에 띄게 늘었다"며 "새로운 세법의 적용을 받는 연말정산 대상은 중위 소득 이상의 직장인, 특히 화이트칼라 직군에 집중돼 있고, 이런 직장인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남성, 4050 세대,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 변화폭이 컸다"고 밝혔다. 또 "그러나 현재 직장인 다수는 실제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번 여파는 1차 연말정산이 완료되는 2~3월, 당정이 합의한 보완책에 따라 소급 적용되는 5월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1월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동안 휴대전화 RDD(임의전화걸기) 표본에서 무작위 추출한 전국 성인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7%(총 통화 5,852명 중 1,001명 응답 완료)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