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문건유출 사건에 대한 서울중앙지검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1.5)와 관련해, 정윤회씨의 국정개입설이 '사실무근'이라는 검찰 발표를 그대로 신뢰하는 여론은 15%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검찰은 정윤회의 국정 개입 의혹을 담은 청와대 문건은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의 지시로 박관천 경정이 풍문을 짜깁기해 만든 허위이고, 두 사람이 박지만 EG 회장을 이용해 자신의 입지를 넓히기 위해 작성했다는 요지의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그러나, 한국갤럽이 1월 6일부터 8일까지 전국 성인 1,001명에게 정윤회씨의 국정개입설에 대한 물은 결과, 응답자의 48%는 "사실일 것"이라고 답한 반면 "사실이 아닐 것"이라는 응답은 15%에 그쳤다. 36%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국갤럽은 "검찰이 '국정개입 사실무근'이라고 발표했으나 그렇다고 믿는 사람은 15%에 불과했다"며 "바로 이런 상황이 검찰 수사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검찰의 이번 수사결과를 신뢰하는지 여부를 물은 결과에서도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9%로 절반을 넘은 반면, "신뢰한다"는 응답은 20%에 그쳤다. 21%는 의견을 유보했다.
모든 응답자 특성에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3040 세대와 화이트칼라 직업군에서는 그 비율이 70%가량 됐다. 지지정당별로는 새정치연합 지지층(237명)의 79%,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285명)의 64%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새누리당 지지층(440명) 중에서도 "신뢰한다"(31%)보다 "신뢰하지 않는다"(43%)는 응답이 더 많았다.
한국갤럽은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국정개입설을 사실일 것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고, 특히 검찰 수사 결과를 신뢰하는 사람(201명) 중에서도 '사실일 것' 34%, '사실이 아닐 것' 33%, 의견유보 33%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결국 검찰 수사 내용 중 비선실세 국정개입 부분에 대한 의혹 해소가 미흡함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때문에 청와대 문건 관련 수사 '특별검사제' 도입에 대해서는 "해야 한다"는 응답이 46%, "그럴 필요 없다"는 응답이 35%로 특검에 찬성하는 의견이 더 많았다. 19%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국갤럽은 "검찰 수사 결과에 불신이 높은 만큼 특검 도입 찬성이 많았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서는 '부정률'이 여전히 50%선에 머물렀다.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물은 결과,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는 40%,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51%였고, 10%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4%, 모름/응답거절 6%).
한국갤럽은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3주 전인 작년 12월 셋째 주 대비 3%포인트 상승했고 부정률은 1%포인트 하락해 부정-긍정률 격차가 15%포인트에서 11%포인트로 줄었다"면서 "긍정률은 취임 이후 최저치(37%)에서 벗어났지만 부정률은 여전히 50% 선에 머물러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는 1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동안 휴대전화 RDD(임의전화걸기) 표본에서 무작위 추출한 전국 성인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7%(총 통화 6,013명 중 1,001명 응답 완료)였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