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홍준표 대구시장의 시대, 성평등 정책이 전방위적으로 퇴행하고 있다"
115주년 3.8세계여성의날 제29차 대구경북여성대회 '여성선언문' 첫 문장이다. 윤석열 정부와 홍준표 시장을 강력 규탄하고 있다. 선언문은 "퇴행을 막기 위해 연대로 맞서겠다"는 다짐으로 마무리됐다.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등 31개 시민사회단체·정당이 참가하는 '3.8세계여성의 날 기념 제29차 대구경북여성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남은주)'는 8일 오후 5시부터 2시간 넘게 대구 중구 옛 중앙파출소 앞 광장에서 '성평등을 향해 전진하라, 퇴행의 시대를 넘는 거센 연대의 파도'를 주제로 대구경북여성대회를 열었다. 이날 광장에는 주최 측 추산 170여명의 시민이 모였다.
![]() | ||||||||
▲ "퇴행의 시대를 넘어"...세계여성의 날 대구 동성로 행진(2023.3.8)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 ||||||||
올해 여성대회는 현 정부와 단체장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성평등 관련 정책과 기관이 축소되거나 폐지되는 등 전방위적으로 성평등 정책이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지난 대선 당시 윤 대통령은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을 내걸었다.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후보들은 성평등 정책 후퇴와 전문기관 통폐합 정책들을 발표했다. 실제로 홍 시장은 4개 기관을 통폐합하고 대구여성가족재단을 해체해 여성 문제 전문 연구 기능을 없앴다. 경북도 역시 비슷하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여성정책을 펼치던 아이여성행복국을 폐지하고 여성아동정책관으로 축소했다.
![]() | ||||||||
▲ 제29차 대구경북여성대회(2023.3.8) / 사진.평화뉴스 정준민 인턴기자
| ||||||||
정책을 축소할 만큼 지역 성평등 현주소는 밝지 않다. 경북은 성평등 지수가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대구도 하위권이다. 이를 반영하듯 대구는 4년 연속, 경북은 7년 연속 인구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구시와 경북도 해법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성평등 정책을 펼치거나 여성노동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닌 '결혼특구 지정', '미혼남녀 미팅·맞선보기' 등 졸속정책으로 일관하는 탓이다.
임금 성별격차도 여전하다. 한국 성별 임금격차는 36개 OECD 회원국 중 31.1%로 27년 연속 가장 높다. 여성(만15세~64세 기준) 경제활동 참가율은 69.3%로 30위에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는 주 52시간 연장근로제한을 년·월 단위로 바꿔 주 69시간 장시간 노동을 추진하고 있다. 성폭력·가정폭력·성희롱·성매매·디지털성폭력 같은 구조적 성차별과 젠더 폭력·갈등도 심화되는 추세다.
조직위는 여성선언문에서 "퇴행의 시대를 멈추고 성평등을 강화하기 위한 연대로 맞서자"며 "투쟁으로 일구어온 성평등 정책과 제도가 더 이상 후퇴하지 않도록 지금 바로 행동하겠다"고 강조했다.
![]() | ||||||||
▲ 세계여성의 날 '성평등 장미' 나눔(2023.3.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
여성대회를 진행하기 전 조직위는 사전행사로 데이트폭력, 디지털성폭력 OUT 알림 부스를 운영했다. 성매매 구매자와 알선자 처벌을 강화하는 성매매처벌법 강화 홍보 활동도 펼쳤다. 고 노회찬 의원이 시작한 성평등 장미꽃 나눔에 이어 혼인평등 인증샷 찍기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했다.
남은주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 출범 1년이 채 안돼 성평등이 전방위적으로 퇴행했다"며 "2030 여성들은 노동시장에서 먼저 밀려났고, 4050 여성들은 열악한 노동시장으로 떠밀렸다"고 했다. 또 "가정폭력과 젠더폭력은 사회를 짓누르고 있다"면서 "퇴행의 시대를 넘어서기 위해 연대하자"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