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명이 숨진 화성 리튬 배터리 화재 참사가 발생하자, 대구경북에서도 비슷한 참사를 막기 위해 긴급 안전 점검에 나섰다.
대구소방안전본부(본부장 엄준욱)는 오는 7월 9일까지 2주 동안 지역 내 배터리 1~2차 전지 관련 업체들을 대상으로 긴급 화재 안전점검을 한다고 27일 밝혔다.
경북은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안전 점검 특별 지시를 내렸다. 이에 따라 경북소방안전본부(본부장 박근오)는 앞서 25일 소방관서장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25일부터 28일까지 경북 시.군 등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지역별 점검 대상은 대구 14곳, 경북 74곳으로 모두 88곳이다. 화재 참사가 발생한 화성의 경우 1차 전지였지만, 대구경북은 모두 2차 전지 사업장이다. 전지제품을 다량 적재하는 작업장을 대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이번 점검은 대구경북뿐 아니라 전국에서 진행된다. 소방청은 2주간 전국 213곳의 배터리 관련 시설에서 깁급 화재 안전 조사를 진행한다. 지역 점검도 그 일환이다.
위험물 저장과 취급, 안전관리 규정 준수 여부와 전기와 가스 등 안전관리 준수 여부, 소방시설과 피난, 방화시설 유지 관리 여부, 공장 비상탈출로 2개 이상 확보 여부, 사고를 대비한 대피 계획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다.
특히 화성 참사 사망자 23명 중 18명이 중국과 라오스 등 이주노동자들에게 피해가 몰린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화재 대피 안전 교육도 실시한다.
지자체와 위험물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 체계를 유지해 긴밀히 대응한다. 보유 중인 소방 장비에 대한 사전 점검과 정비도 실시할 계획이다.
긴급 점검 결과 법령을 위반한 사업체에 대해서는 관계 법령에 따라 엄중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에 있는 리튬 배터리 1차 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지난 24일 오전 불이 발생해 노동자 등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라는 새 유형의 재난으로, 31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형 참사다.
화재가 발생하면 이산화탄소와 물 등을 뿌려 불을 끄는 게 통상적 방법이지만, 이번 화재 참사에서는 기존의 진화 방식이 통하지 않았다. 리튬 등 가연성 금속 분말이 공중에 떠다녀 물 등이 닿으면 폭발 위험까지 있다. 수분 접촉으로 불을 끌 수 없었던 것이 참사를 키웠다. 소방당국도 사건 초기 초동 진화에 성공하지 못했다. 불을 끄기보다 방화선을 구축하고 자연 진화되는 것을 기다려야만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