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스마트관제시스템에 '인구 밀집도' 관리 기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들이 야외 좁은 공간에 몰려 위험한 상황이 발생해도 이를 감시하고 보고하는 기능이 부실한 것이다. 1㎡당 6명 이상 모이면 압사 위험이 있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스마트관제시스템에서 인공지능(AI)이 인구밀집도를 분석하는 기능이 있을 경우 6명이 넘어가면 자동으로 비상벨을 울려 통합관제시스템에 보고한다. 이어 지자체와 경찰, 소방이 합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대구 스마트관제시스템에는 이 기능이 빠졌다.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위원장 임인환)는 11일 대구시 시민안전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 시민안전실은 대구시민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사고에 앞서 대비책을 마련하는 부서다. 의원들은 앞서 '서울 10.29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해 대구지역에서도 이 같은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구시의 현황에 대해 집중 질의를 했다.
이성오(국민의힘.수성구 제3선거구) 의원은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날 용산구 관제센터를 보면 관제원이 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무런 사건 사고가 없다는 의미의 '비상제로'가 떴다"며 "대구시의 관제센터시스템은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구에는 모두 1만4,000여대의 CCTV가 있지만 스마트관제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면서 "6명 이상 되면 관제요원이 눈으로 안봐도 비상벨이 울리는 게 스마트 시스템인데, 대구는 관제요원이 일일이 들여다봐야 하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공지능도 밀집도 기능도 없다"며 "관제요원이 24시간 들여다보기 어려우니 스마트관제를 하는 것인데,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이 부족한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통합관제시스템' 부실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대구시의 경우 통합컨트롤시스템 인원을 보면 공무원 조직 4팀, 경찰 3명에 불과하다. 1만4,000여대 CCTV 기능 역시 쓰레기, 차량, 학교 앞 등 '생활형'에 맞춰져 있어 대형 재난재해 사고에 취약하다. 기초자치별로 보면, 수성구와 달서구, 달성군 3곳은 통합관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반면 중구와 동구, 서구, 남북, 북구 등 5곳은 통합관제시스템이 없다.
국비와 시비 각각 6억원씩 모두 12억원의 예산이 드는데 예산이 없어 통합관제시스템을 지자별로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백업' 기능 역시 부실하다. CCTV 영상물은 한달 동안 보관하다가 30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소멸된다.
이 의원은 "전반적으로 취약하고, 구.군별로 보면 재해와 재난에 무방비한 곳도 있다"며 "이태원 참사를 교훈 삼아 대구시 차원에서 재해와 재난의 종합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임인환(국민의힘.중구 제1선거구) 의원은 "주최측이 없는 행사나 축제의 경우 우리 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냐"며 "중앙정부 대책만 바라보지 말고 동성로나 클럽골목, 수능 이후 학생들 안전에 대비해 안전 점검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홍성주 대구시 시민안전실 실장 "현재 대구시 CCTV 단계는 움직임을 포착해서 영상을 표출하는 단계"라며 "밀집도에 따른 위험벨이 울리는 것은 아직 갖춰지지 않았다"고 했다. 대신 "지능형 CCTV, 특수 목적에 맞춰서 업그레이드 시키고 발전시켜야할 분야"라고 덧붙였다. 또 홍 실장은 "연말 연시에 맞춰서 행사가 많아졌다"며 "국채보상운동공원에서 타종 행사나 크리스마스 행사에 맞춰 철저하게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오는 11월 17일 수능시험 이후 SKT와 함께 밀집도, 군집도를 추적하는 대응 계획도 세우고 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