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정부 출범 이후 언론악법문제, 부자감세 및 서민증세, 지역균형발전 포기, 4대강 죽이기, 노동관계법 개악 등 모든 국정운영에 있어 국회의원 숫자 우위를 바탕으로 한 독선과 아집에 의한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야당은 힘을 못 쓰고 있고, 시민단체의 활동은 위축되어 가고 있다.
특히, 대구에서는 미약한 진보진영세력이 서로 의견을 달리하면서 자신의 주장만 옳은 것처럼 주장하고 있어 더욱 열악한 환경에 놓여지고 있다. 대구지역의 범야당과 시민단체는 서로의 주장을 내려놓고 진정한 대구 바로세우기를 위해 연대를 호소한다.
"진보진영, 정파적 주장과 선명성 시비 버려야"
1. 대구시의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견제와 균형을 되찾는 시민의식이 필요하다.
감성적 투표 및 반계급적 투표성향을 보이고 있는 대구시민들의 정서변화를 위해서는 우리부터 시민들에게 새로운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세력이 미약한 진보진영이 거대한 한나라당에 맞서기 위해서는 정파적 주장을 버리고 연대하는 것만이 지방선거에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토대로 대구의 변화를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이다.
2. 대승적 차원에서 대구시민에게 선거다운 선거마당을 제공해야될 의무가 우리에 있는 것이다.
대구시민들이 선거에 관심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참신하고 훌륭한 후보를 개혁진영이 힘모아 발굴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시민들에게 변화를 바랄 것이 아니라 우리의 달라진 모습을 시민들에게 보여야만 우리의 진정성을 시민들이 이해하고 우리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3. 대구는 본래 야도이다. 야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진보진영의 단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소모전적 선명성 시비는 이제 버려야 할 우리의 자세이다.
"연대, 시민단체가 결정하면 따르겠다"
4. 민주당 대구시당은 2010년 지방선거의 더 나은 성과를 위해 2009년 중반부터 시민단체와 야4당에 대해 지방선거 후보단일화를 제기하여 지금까지 계속 일관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연대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민주당 대구시당은 어떤 주장도 하지 않고 야4당과 시민단체의 합의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이미 천명한바 있다. 민주당 대구시당은 제1야당의기득권을 포기하고 진보진영이 함께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 연대를 계속적으로 실천해나갈 것이다.
5. 객관적 입장에 있는 시민단체가 범 야당세력과의 연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선거준비과정을 주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에서 평소 연대방식 등을 시민단체(구체적으로 참여연대)에서 결정하면 따르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특히, 지난 해 연말 시민단체연대회의와 민주당 대구시당의 간담회에서 시민단체연대회의에서 연대의 중심에 서 추진할 것으로 제안하였고 이에 연대회의에서 공감을 표하였다.
위와 같이 민주당 대구시당의 입장을 정리하면서 민주당 대구시당은 모든 것을 열어놓고 대구지역 개혁세력의 연대에 적극적인 입장임을 말씀드린다.
[기고]
이승천 / 민주당 대구시당 위원장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승천(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 / "정파.선명성 떠나 야4당.시민단체 연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