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6.25전쟁 60년, "민족의 화해와 평화통일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일운동단체, 처음으로 '6.25 추모제'...정전협정일(7.27)까지 "반전평화운동"


6.25한국전쟁 60년. 전쟁은 남과 북 모두에게 씻을 수 없는 참상을 남겼다. 그러나, 60년이 지난 지금도 한국전쟁은 '종전'이 아닌 '휴전' 상태로 남아있다. 또, 전쟁에 따른 분단은 끊임없이 동족간 적대와 충돌 위기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게다가, 남북 정상이 합의한 6.15선언과 10.4선언은 이명박 정부에 의해 퇴색되고 있는 가운데, '천안함' 사고를 둘러싼 남북 갈등은 한반도에 또 다른 군사적 긴장을 높이고 있다.

어느 때보다 불안한 남북관계 속에 맞은 6.25한국전쟁 60년, 대구의 진보.통일운동단체는 "반전평화"을 강조하며 "평화협정 체결"와 10돌을 맞은 "6.15선언 실천"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통일운동단체로는 처음으로 '6.25 희생자 추모제'를 갖는 한편, 6월 25일부터 정전협정이 체결된 7월 27일까지 한달간을 "반전평화운동 집중기간"으로 정하고 시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연다. 

처음으로 '6.25 희생자 추모제'..."남과 북 모든 원혼을 달래다"

먼저, 6.25전쟁 60년이 되는 25일에는 지역의 평화통일운동단체로는 처음으로 '6.25한국전쟁 60년 희생자 추모제'를 연다. < 6.15실천 대경본부>와 <대구종교인평화회의>는 25일 오후 4시에 6.25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칠곡군 석적읍 망정리 328m 고지에서 6대 종단별로 희생자를 원혼을 달래는 추모기도와 예식을 거행하고 반전평화선언문을 낭독한다.

오택진 사무처장
오택진 사무처장
6.15대경본부 오택진 사무처장은 "지역 통일운동단체가 6.25추모제를 갖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6.25전쟁 60년을 맞아, 전쟁시기에 희생당한 남과 북 모든 동포들의 원혼을 달래고 민족의 화해와 평화통일을 바라는 마음으로 추모제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또, "평화통일의 시작은 6.15선언 실천"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추모제에는 6대 종단 종교인들을 비롯해 40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천안함' 신상철 강연...'주한미군' 토론.탐방

대구경북진보연대와 대구.안동평통사를 포함한 10여개 단체는 6월 25일부터 7월 27일까지 한달간을 "반전평화운동 집중기간"으로 정하고 사진전과 토론, 탐방, 영화제를 통해 '평화협정 체결'과 '천안함 진상규명', '주한미군기지'를 포함한 민족문제를 시민들과 나눌 예정이다.

특히, '천안함' 사고와 관련해, 오는 7월 9일 저녁 7시에 민주노총대구본부 강당에서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 조사위원을 지낸 신상철씨 강연회를 연다. 신상철씨는 합동조사단의 발표와 달리 천안함 사고와 관련한 여러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국방부는 신씨에 대해 "합조단의 명예를 실추시켰다"는 이유로 국회에 조사위원 교체를 요구하기도 했다.

경기도 포천 로드리게스 미8군 전용사격장에서 실시된 한.미 해병대의 시가지 전투훈련 모습(2009.3.1) / 사진.통일뉴스
경기도 포천 로드리게스 미8군 전용사격장에서 실시된 한.미 해병대의 시가지 전투훈련 모습(2009.3.1) / 사진.통일뉴스

또, '미군기지' 문제에 대해서도, 7월 14일 남구의회에서 '대구지역 미군기지 실태와 대중운동 방향'을 주제로 토론회를, 7월 17일에는 대구 캠프워크와 갬프헨리를 돌아보는 탐방 행사를 갖고 미군기지의 역사와 문제를 짚어보고 해결방안을 논의한다.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이와 함께, 7월 15일부터 18일까지는 '대구평화영화제'를 열고 '경계도시'(홍형숙 감독), '당신과 나의 전쟁'(태준식 감독)를 포함한 10여편의 영화를 상영한다.

대구평화영화제 상영 일정
대구평화영화제 상영 일정

이어, 정전협정일인 7월 27일 저녁에는 대구2.28공원에서 '대구경북 반전평화 한마당'을 열고 한달간의 활동을 마무리 한다.

서영훈 사무국장
서영훈 사무국장
대구경북진보연대 서영훈 사무국장은 "전쟁의 비극은 동족간 적대와 언제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지 모르는 불안정과 분단체제를 만들었다"면서 "6.25전쟁 60년을 맞아, 전쟁의 참상을 되새기고 민족의 화해와 평화통일을 바라는 마음으로 반전평화운동에 나섰다"고 말했다. 특히, "천암함 사태에서 보듯이, 남북관계는 끊임없는 분쟁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며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와 통일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화협정' 체결과 6.15선언 이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