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칠곡군 캠프캐럴 미군기지에서 고엽제 성분인 다이옥신이 검출됐다는 2004년 삼성물산의 용역보고서가 공개되자, 대구경북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전면 재조사"를 요구하며 "진상규명"에 더욱 목소리를 내고 있다.
<왜관미군기지 고엽제 매립범죄 진상규명 대구경북대책위원회(이하 대경대책위)>는 23일 성명을 내고 "지하수에도 다이옥신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그 기준치를 따지기 이전에 이미 토양이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며 "그 오염원인은 고엽제를 비롯한 여러 독성화학물질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대경대책위에는 대구경북진보연대와 대구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52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특히, "미군이 처음부터 '미량'이고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을 정도'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건강의 '해'는 십 수 년에 걸쳐서 일어나기 때문에 당장 피해가 확인되지 않는다고 해서 아무 문제가 아니라는 식은 이 문제를 매우 축소해서 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제껏 아무런 자료도 없다고 발뺌 하다가 지금에 와서 자료를 공개하고 인체에 해가 없다고 말하는 것은 매우 무책임한 처사"라며 "주한미군은 고엽제와 화학물질 매립, 이동, 저장, 처리를 포함한 모든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한미합동조사단은 눈가리고 아웅식의 형식적인 조사로 미군에게 면죄부를 줄 것이 아니라, 모든 자료공개와 함께 조사 지역을 다시 선정해 고엽제 매립 진상조사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라"고 촉구했다.
<평화통일대구시민연대>도 23일 성명을 내고 "캠프캐럴 기지에 대한 전면 재조사"를 요구했다.
특히, "지하수의 다이옥신 검출은 이미 이 땅이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삼성물산의 용역보고서 등을 종합해 볼 때 미군이 기지내 오염을 이미 인식하고 있다는 의혹을 가질 수 밖에 없고, 지금 진행되고 있는 한미합동조사단의 조사도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주한미군은 고엽제 및 화학물질 매립, 이동, 저장, 처리 등 관련 모든 자료를 즉각 공개하고 시민사회와 학계를 비롯한 민간조사단이 함께 참여하는 신뢰할 수 있는 조사단을 새롭게 구성하라"고 주장했다.
앞서, 주한미군은 23일 캠프캐럴에서 그동안 시민사회단체와 주민들이 공개를 요구한 2004년 삼성물산 용역 보고서와 1992년 미 공병단 보고서를 공개했다. 2004년 보고서에는 41구역(1978년까지 화학물질 저장하던 곳)과 D구역(헬기장 가장자리)의 지하수 뿐 아니라 토양에서도 고엽제 성분인 '다이옥신'이 검출됐다고 적혀 있었다. 토양검사 결과, 41구역은 2.04ppt(1조분의 1), D구역은 0.753ppt가 나왔다. 지하수는 41구역에서 3.36ppq(1천조분의 1), D구역은 0.97ppq가 검출돼 미국(30ppq)과 대만(12ppq)의 먹는물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또, 지하수에서는 비소가 기준치의 2420배, 수은이 808배 검출된 것을 비롯해 발암물질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대경대책위>와 칠곡지역 37개 단체로 구성된 <캠프캐럴 고엽제 매립 진상규명 민간대책협의회>는 6월 24일 저녁 성베네딕도회왜관수도원에서 '생명의 야단법석'이라는 주제로 주민문화제를 열고 "진상규명"을 요구할 예정이다. 또, 이들 단체는 캠프캐럴에 근무했거나 매립을 목격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증언 녹취'와 함께, 각계 전문가들로 자체 '민간조사'도 벌이기로 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