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엽제' 매립 의혹이 일고 있는 경북 칠곡군 미군기지 '캠프캐럴' 주변 하천수에서 고엽제 주성분이자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극미량' 검출됐다. 그러나, 미군기지 주변 주민이 마시거나 생활용수로 쓰는 지하수에서는 고엽제 성분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한미공동조사단이 밝혔다.
한미공동조사단은 16일 "칠곡군 왜관읍 캠프캐럴 주변 반경 2km 이내의 지하수(10곳) 및 하천수(6곳)에 대해 지하수 관정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지하수에서는 고엽제 성분인 2,4-D와 2,4,5,-T, 다이옥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하천수 6곳 가운데 3곳에서는 매우 적은 양의 다이옥신이 검출됐다.
한미조사단은 "극미량의 다이옥신이 0.001~0.010피코그램(pg-TEQ/L) 검출됐다"면서 "이는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먹는 물 기준(2,3,7,8-TCDD으로 30pg/L)의 3천분의 1에서 3만분의 1 수준이며, 최근 왜관지역 기존 조사결과 평균(0.070pg-TEQ/L)과 비교해도 7분의 1에서 70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검출농도 : pg-TEQ/L)
또, 지하수 3곳에서는 일부 오염물질이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음용 관정으로 쓰고 있으나 곧 광역상수도로 바꾸기 위해 공사 중인 왜관리 1개 관정(4번)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항목인 테트라클로로에텐(PCE: Tetrachloroethene)이 기준을 초과했다. 또, 칠곡종합복지회관의 민방위시설로 개발된 관정(1번)은 일반세균과 총대장균군이 기준을 초과했으며, 생활용수로 이용하고 있는 관정(10번)에서도 생활용수의 수소이온농도(pH) 기준을 초과했다.
(단위 : mg/L)
이에 따라, 한미조사단은 "테트라클로로에텐이 기준을 초과한 4번 관정지역을 중심으로 오염원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수질검사와 별도로 진행되는 토양오염 검사 결과는 6월 말쯤 나올 예정이다. 고엽제 성분은 물에 잘 녹지 않는 대신 토양에 스며드는 점 때문에 수질검사 보다 더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하수시료 채취지점 현황
지하수 조사지점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