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원전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매일신문과 KBS대구방송총국을 비롯한 대구경북 일간신문과 방송사들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부터 수 백만원에서 수 천만원의 광고홍보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인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지난 2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서 받은 최근 4년간 광고홍보비 집행 내역을 보면, 이 공단은 '후쿠시마' 사고가 난 2011년에 13억220만원, 2012년 11억4600만원, 2013년 5억200만원(방송광고 제외), 2014년에는 6월까지 3억2800만원을 전국 일간신문과 방송사에 집행했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광고홍보비 집행 내역
특히,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경북일보, KBS대구, 포항MBC를 포함해 대구경북 신문ㆍ방송사에도 대부분 해마다 수 백만원에서 수 천만원의 광고홍보비가 지출됐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하고 남은 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의 운반과 저장, 처리ㆍ처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의 부지 선정ㆍ건설ㆍ운영과 폐쇄 후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데, 경북 동해안에는 경주 월성원전과 울진원전, '경주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리장(방폐장)' 같은 원전 시설이 많다.
때문에 대구경북 대부분의 언론사에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광고홍보비가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신문에는 2011년 2월 '지방언론기관 홍보광고' 명목의 440만원을 비롯해 2014년 6월까지 모두 16차례에 걸쳐 6,875만원을 집행했다. 한 해 평균 4-5회씩, 한 번에 440만원씩(2013년 6월은 275만원) 규모였다.
또 영남일보와 경북일보, 경북도민일보에도 10차례 이상 광고비를 준 것을 비롯해 대부분의 지역 일간신문과 통신사에 '지방언론 기관 홍보광고' 등의 명목으로 해마다 광고비가 지출됐다. 그러나, 매일신문을 제외한 12개 지역신문은 집행금액 공개를 거부하면서 한국원자력환경공단도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 전국 일간신문 19개사도 '영업상 비밀'(한겨레), '광고주와의 관계'(조선일보) 등을 이유로 공개를 거부했다.
일간신문과 달리 방송사들은 대부분 광고비 집행 내역을 공개했다.
KBS대구방송총국은 2011년 10월 '사용후핵연료 홍보 다큐 협찬' 명목으로 5,500만원을, 포항MBC는 2011년 11월 770만원을 '지방언론기관 홍보광고' 명목으로 받았다. 또 KBS대구방송ㆍ포항MBCㆍTBC를 포함한 3사는 2011년 4월에 5,723만원을, 2011년 5월에 4,902만원을 받았다. 포항MBC와 포항CBS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해마다 수 백만원의 광고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원자력안전공단의 2011년 광고 예산 집행 내역(단위:원)
한편,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당초 2014년 12월에 이 같은 내용의 정보공개청구를 했지만 , 2015년 2월에 통지된 자료에는 언론사별 광고비 단가가 공개되지 않아 이의신청을 했다. 정보공개센터측은 이의신청문에서 "이 청구자료는 공단측이 비공개사유로 든 경영영업상 비밀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서 ▶"원자력환경공단은 시민의 세금으로 출현된 예산으로 운영되는 기관이므로 시민은 환경공단의 예산이 어떻게 집행되는지 알 권리가 있다", ▶"광고홍보비의 세부내역이 공개될 경우 제3자인 언론사의 경영, 영업상 비밀에 해당된다고 하였는데 청구정보가 공개된다고해서 영업상 비밀을 저해해 현저한 불이익을 줄만하다는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