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코발트' 유해, 임시 안치소 기간 만료...또 어디로?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입력 2016.06.07 18:2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유해 370구, 충북대서 곧 이전...행자부 "세종" / 유족 "고향 경산으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인 경북 경산시 코발트광산 유해 370구가 기존 충북대 임시 안치소 기간 만료로 곧 다른 곳으로 옮겨질 처지에 놓였다. 정부는 "임시로 세종시 이전"을 계획 중인 반면, 유가족은 "더 이상 임시 보존은 곤란하다"며 "고향 경산으로 이전"을 요구해 갈등을 겪고 있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유해가 묻힌 경산 코발트광산(2014.10.2)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유해가 묻힌 경산 코발트광산(2014.10.2)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1950년대 6.25 한국전쟁 당시 희생된 전국의 민간인 희생자 유해 1,700구를 보관하고 있는 충북대학교(충북 청주시 서원구) 내 임시 안치소 사용 기간이 6월에 만료됨에 따라, 오는 7~8월쯤 전체 유해를 다른 안치소로 옮길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2007년부터 이 업무를 담당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후신인 행자부 과거사업무지원단은, 올초부터 이와 관련한 23명의 자문위원단을 꾸리고 유해 이전을 위한 사전 작업을 벌이고 있다. 자문위에는 정부, 민간 전문가,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피학살자 전국유족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4월과 5월 2차례에 걸쳐 회의를 열었고 이달 말에도 유해 이전 자문회의를 열 예정이다.

그러나 자문위 3개 주체 중 정부와 유가족이 이전 장소를 놓고 의견이 엇갈려 갈등을 겪고 있다. 행자부는 "세종시 내 임시 안치소 이전"을 추진하고 있지만 유가족들이 이에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64주기 코발트광산 희생자 합동위령제(2014.10.2.경산시립박물관)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64주기 코발트광산 희생자 합동위령제(2014.10.2.경산시립박물관)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세종시 정부종합청서 내 임시 안치소가 올해 10월쯤 완공돼 그 기간동안 유해를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아, 세종시로 이전해도 넉달가량 유해를 제대로 보관할 수 없는 까닭이다. 행자부는 세종시 임시 안치소 마련 전까지 넉달간 충북대 내 임시 안치소 운영 기간을 추가 연장해달라고 충북대에 요청할 방침이다. 하지만 충북대는 2009년부터 2차례나 기간을 연장하면서 임시 안치소를 운영해 더 이상 기간 연장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특히 대학은 안치소가 있는 전산정보원 보수를 이유로 안치를 거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산 코발트광산 유가족은 세종시 이전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현재 충북대에는 코발트광산 유해 370구가 보관돼 있다. 코발트광산에서는 지금까지 5백여구의 유해가 발굴됐다. 하지만 80~100여구는 보관 장소 부족으로 광산 인근 컨테이너박스에 임시 보관돼 있다.

진실화해위원회 보고서(2010년)에 따르면 이승만 정권 당시인 1950년대 우리나라 군인과 경찰에 의해 민간인 3,500여명이 코발트광산에서 집단사살됐다. 피해자는 주로 경산시와 청도군 일대 보도연맹원과 10월항쟁 대구형무소 수감자로,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북한군 협조 위험'을 이유로 국가에 의해 일방적으로 희생됐다. 그러나 갱도 붕괴 위험으로 현재 모든 발굴이 중단된 상태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대구경북유족회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등 과거사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특별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2015.5.18.대구228공원)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대구경북유족회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등 과거사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특별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2015.5.18.대구228공원)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경산 코발트광산 유가족은 거듭된 유해 이전에 대해 "훼손"을 이유로 세종시 이전에 반대하고 있다. 박의원(74)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대표이사는 "계속 유해를 이전하면 훼손될 수 있다"며 "임시 보관을 위한 이전은 곤란하다. 또 어디로 간다말이냐"며 반발했다. 때문에 "늦었지만 코발트 희생자만이라도 고향 경산에 이전하길 바란다"면서 "국가 피해자들을 고향, 가족의 품으로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반면 고재만 행자부 과거사업무지원단 과장은 "경산에는 유해를 제대로 봉헌할 시설이 없다"며 "제습이나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이 있다면 모를까 코발트광산 유해만 따로 경산에 보관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또 "정식 위령시설 마련을 위한 후보지 공모 중이기 때문에 후보지가 선정되면 또 유해를 옮겨야 한다"면서 "그 전까지 일단 세종시로 옮기는 것이 적당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행자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유해 안치 등 위령시설 조성을 위한 공모에 나섰다. 경산시 등 5개 지자체가 위령시설 건립을 위한 공모에 나설 예정이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