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에서 핵사고가 발생한지 내일로 꼬박 12년째지만 사고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올해 봄 일본 기시다 정부는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겠다고 예고했다. 윤석열 정부는 일본 정부를 향해 이렇다할 반대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이대로 방류하면 동해안과 남해안 일대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일대 지역 주민들과 어민들은 바다 오염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원자력 정책도 계속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재인 정부에서 윤석열 정부로 정권이 바뀌면서 원전은 확대 기조로 돌아섰다. 윤석열 정부는 고리원전 2호기를 포함해 월성원전 2~4호기 등 노후 원전 수명연장 단계를 밟고 있다. 경북 울진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도 추진한다. 경주에는 핵페기물 임시저장시설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도 원전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고 있는 셈이다.
대구경북 환경단체들은 이와 관련해 3.11 후쿠시마 핵사고 12주기인 내일 공동 행동을 펼친다.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은 오는 11일 오후 12시 30분부터 경주 황리단길 입구(내남 네거리)에서 '후쿠시마 12년, 핵없는 세상을 걷다'를 주제로 '경주시민 해바라기 행진'을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해바라기 행진은 핵발전을 대체할 재생가능 에너지를 상징한다. 시민들은 해바라기 문양이 그려진 옷이나 소품을 들고 걷는다. 행진은 황리단길에서 시작해 봉황대, 메가박스, 롯데시네마, 황남빵을 거쳐 신라대종에서 끝난다. 행진 중 다잉(Dying) 퍼포먼스 등 탈핵 캠페인을 펼친다. 핵발전소 폐쇄 100만 서명운동,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서명운동, 탈핵 도서 전시, 원전 비석깨기 등 부스를 운영한다.
이들은 행진을 하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노후원전 월성원전 2~4호기 수명연장 중단 ▲월성원전 방사능 누출 대책 마련 ▲핵폐기물 임시저장시설 반대, 고준위특별법 폐기를 촉구할 예정이다.
'핵없는세상을위한대구시민행동'은 탈핵 버스를 타고 오는 11일 부산에서 열리는 노후원전 고리원전 2호기 수명연장 반대 탈핵 행진을 떠난다. 이들은 지난 9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후쿠시마 핵사고가 12년 지났지만 핵발전 진흥을 꿈꾸는 핵산업계 횡포는 여전하다"며 "윤석열 정부는 방사성 오염수 방류를 결정한 일본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노후원전 수명연장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또 "위험한 원전 말고 재생에너지로 바꿔 안전한 세상으로 나가야 한다"고 했다.
![]() | ||||||||
▲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 저지' 기자회견(20203.3.10.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 사진.환경운동연합
| ||||||||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에 따르면,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은 10기다. 대구 전력 30%를 책임지는 월성 2~4호기는 2026년~2027년~2029년 차례로 수명이 끝난다. 하지만 수명 30년인 고리 1호기·월성 1호기는 만료된 해에 연장 운영했다. 고리 2호기는 올해 수명이 끝난다. 그러나 한국수력원자력·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정부 정책에 따라 연장을 시도해 환경단체들이 우려하고 있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도 3.11 관련 기자회견이 열렸다. '일본방사성오염수방류저지공동행동'과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10일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를 규탄한다"며 "윤석열 정부는 오염수 장기 보관을 일본 정부에 요구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등 전국의 환경단체가 모인 '후쿠시마 핵사고 12년 탈핵행진 준비위원회'는 11일 오후 2시부터 부산 송상현 광장 다이나믹 부산마당에서 3.11 탈핵행진을 한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