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보기

대구 달서구의회, 해외연수 내내 술 마시고 일정 부실..."5천만원 혈세낭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4~21일 호주·뉴질랜드 국외연수
첫날 버스에서부터 공항까지 술자리
일정마다 음주, 쇼핑...프로그램도 빠져
의회 "가볍게 마셔, 흥청망청 아냐" 해명
시민단체 "감시 장치 전무, 징계 등 강화"

대구 달서구의원들이 해외연수 내내 술을 마시고, 일정도 제대로 소화하지 않아 논란이다.

부실한 연수에 든 예산은 5,000만원. 외유성 연수에 혈세낭비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대구 달서구의회 2024 공무국외연수. 달서구의원들이 호주, 뉴질랜드 연수 방문지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2024.5.17) / 사진. 독자 제공
대구 달서구의회 2024 공무국외연수. 달서구의원들이 호주, 뉴질랜드 연수 방문지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2024.5.17) / 사진. 독자 제공

달서구의회(의장 김해철)에 4일 확인한 결과, 달서구의원 12명(국민의힘 9명, 더불어민주당 3명)과 의회 사무처 직원 3명 등 15명은 지난 5월 14일~21일까지 6박 8일간 호주·뉴질랜드로 해외연수를 떠났다.

연수 목적은 달서구에서 추진 중이거나 추진 예정인 '시책사업 관련 우수 사례탐방'이다. 전체 연수 경비는 5,717만3,250원이다. 의회 예산은 5,250만원, 1인당 개인분담금은 31만1,550원이다.

공무국외출장 계획서에 따른 방문 장소는 ▲시드니 하이드 파크(와룡산자락길 편백숲길 등 도시숲 조성) ▲블루마운틴 국립공원(에코전망대 건립 등 관광자원 활성화) ▲시드니 천문대(별빛천체과학관 건립·주변지역 활용) ▲시드니 타운홀(대구시 신청사 건립 방향) ▲로토루아 노인복지센터(월배노인종합복지관 건립방향·운영방안 모색) 등 16곳이었다.

◆ 하지만 출발 첫날부터 일부 의원들이 음주 문제를 발생시켰다.

연수 첫날인 지난 5월 14일 오전 인천공항으로 가기 위해 의원들은 달서구 학산공원에 모여 버스에 올라탔다. 이후 의원 4~5명은 이동 과정에서부터 술을 마셨다. 인천공항 도착 전 점심 식사를 위해 들른 식당에서도 술자리가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호주·뉴질랜드 현지 일정에서도 식사 때마다 음주가 끊이지 않았고, 쇼핑센터만 4곳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 연수 프로그램도 부실하게 진행됐다. 방문 기관 전체 16곳 중 관계자 간담회 등 만남을 가진 곳은 3곳에 불과했다. 대부분은 건물 앞에서 단체 사진만 찍고 돌아갔다. 한 의원은 이 중 7곳의 연수 일정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번 해외연수에 참가한 A의원은 "방문 기관 섭외도 없었다"며 "기관에 들어가 보는 것도 아니고, 건물 앞에 서서 현수막을 펴고 사진 찍는 것이 다였다"고 밝혔다.

제303회 대구 달서구의회 임시회(2024.4.23) / 사진 출처.달서구의회
제303회 대구 달서구의회 임시회(2024.4.23) / 사진 출처.달서구의회

◆ 달서구의회 측은 해명에 나섰다.

연수 방문 일정을 대부분 소화했고, 음주 논란과 관련해서는 "취할 정도로 마신 것은 아니였다"는 것이다.

박정환 달서구의회 운영위원장은 "예산은 한정돼 있고, 최소한의 경비로 가려고 하다 보니 여행사 두세 군데의 견적을 받았다"며 "여행사와 논의 과정에서 쇼핑센터에 갈 수도 있다고 했고, 의원들도 모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음주 여부에 대해서는 "의원들 말을 들어본 결과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식사하면서 가볍게 마신 정도지, 흥청망청 취할 정도로 마신 것은 없었다"면서 "의원 전체가 몸을 못 가눌 정도로 마신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방문 기관 16곳 중 대부분을 방문해 공부하고, 비교하는 과정을 거쳤다"며 "(해외연수에 대한) 의원들의 개인적인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지역 시민단체는 매년 발생하는 해외연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감시를 강화하고, 당 차원에서도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장지혁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매년 발생하는 지방의회 의원들의 해외연수 논란에 대해 많은 국민이 실효성을 의심하고 있다"며 "지방의회 해외연수에 대한 감시 장치가 전무하기 때문에 논란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정당에서도 관련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정당 차원에서도 문제 발생 시 징계 등 조치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치를 생각하는 대안언론, 평화뉴스 후원인이 되어 주세요. <후원 안내>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보기